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41084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콩깍지가 쓰였다 / 씌였다

수많은 사람 중에 그녀밖에 안 보이고, 멀리서도 그녀의 목소리만 들리고, 김태희보다 그녀가 더 사랑스럽다고 한다면? 그의 눈엔 콩깍지가 씐 걸까, 쓰인 걸까, 씌운 걸까.
 ‘콩깍지가 쓰인’ ‘콩깍지가 씌운’이라고 표현해선 안 된다. “그의 눈에 콩깍지가 씐 거군요”라고 답해야 어법에 맞다.이때의 ‘씌다’는 ‘쓰이다’나 ‘씌우다’의 준말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하나의 자동사다. “술을 마시면 이성이 더 매력적으로 보이는 ‘콩깍지가 쓰인다(씌운다)’는 속설은 사실일까?”와 같이 표현하는 건 잘못이다. ‘씐다’로 고쳐야 한다. ‘씌고/씌니/씌면/씌어서’처럼 활용된다. 불필요한 ‘-이-’를 넣어 ‘씌인/씌이다/씌였다’로 활용하는 사람도 많지만 기본형이 ‘씌다’이므로 ‘씐/씌다/씌었다’로 사용하는 게 바르다.
 ‘눈에 콩깍지가 씌다’ 대신 ‘눈에 콩 꺼풀이 씌다’고 표현해도 무방하다. ‘콩 꺼풀’은 한 단어가 아니므로 띄어 써야 한다. 콩깍지든 콩 꺼풀이든 앞이 가려 사물을 제대로 보지 못하다는 의미로 사용하는 동사는 ‘씌다’이다.
  귀신 따위에 접하게 되다는 뜻을 나타낼 때도 ‘씌다’를 쓴다. “귀신이 쓰였다(씌웠다)”처럼 활용해선 안 된다. ‘씌었다’로 바뤄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84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40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287
3128 팔자 바람의종 2007.09.08 9083
3127 폐하 바람의종 2007.09.09 10117
3126 푼수 바람의종 2007.09.10 11724
3125 한량 바람의종 2007.09.12 8667
3124 한성 바람의종 2007.09.18 11297
3123 한약 한 제 바람의종 2007.09.19 11223
3122 합하 바람의종 2007.09.20 8525
3121 행각 바람의종 2007.09.21 8380
3120 바람의종 2007.09.22 9214
3119 ‘김치’와 ‘지’ 바람의종 2007.09.22 7096
3118 형극 바람의종 2007.09.23 12532
3117 기다 아니다 바람의종 2007.09.23 14785
3116 호구 바람의종 2007.09.26 11505
3115 언어의 가짓수 바람의종 2007.09.26 13054
3114 호구 바람의종 2007.09.28 8517
3113 상일꾼·큰머슴 바람의종 2007.09.28 12918
3112 호남 바람의종 2007.09.29 9188
3111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711
3110 홍일점 바람의종 2007.10.05 11009
3109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158
3108 환갑 바람의종 2007.10.06 18534
3107 언어 분류 바람의종 2007.10.06 135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