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2.06.13 11:47

'상(上)' 띄어쓰기

조회 수 10213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바루기] '상(上)' 띄어쓰기

우주에선 물을 벌컥벌컥 들이켜지 못한다. 컵을 기울여도 물이 입 안으로 쏟아지지 않고 허공에 방울져 떠다닌다. 사실상 컵에 따르는 일조차 힘들다. 총처럼 생긴 도구로 물을 입속에 뿌리거나 빨대로 마실 수밖에 없다. 우주 공간에선 '지구 상'에서와 같은 중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기 때문이다.

'지구 위'를 가리키는 말로 흔히 '지구 상'이란 표현을 쓴다. 이때 많은 사람이 '상'을 앞말에 붙여야 할지, 띄어야 할지 망설인다. 어떤 게 맞을까?

"호주에는 지구 상 어디에서도 발견되지 않은 생물 수십 종이 산다" "지구 상의 물은 97%가량이 해수로 이뤄져 있다"처럼 '상(上)'이 물체의 위나 위쪽을 뜻하는 말일 때는 앞의 단어와 띄어 쓰는 게 맞다. "주요 도로 상의 통화 품질을 점검하고 있다" "도로 상의 각종 불법행위를 단속한다" 등에서의 '도로 상'도 마찬가지다. '하(下)'와 반대되는 개념이므로 띄어야 한다.

그러나 '상(上)'을 모두 띄어 쓰는 건 아니다. "인터넷상의 선거법 위반 사례" "낙뢰에 따른 통신상의 오류" "전설상의 동물로 알려진 이무기"와 같이 '하(下)'와 반대되는 의미가 아니라 '구체적 또는 추상적 공간에서 갖는 한 위치'의 뜻을 더하는 접사로 사용됐을 경우에는 앞말에 붙여 쓴다.

'관계상' '미관상' '사실상' '외관상' '절차상' '법률상'처럼 일부 명사 뒤에서 '그것과 관계된 입장' 또는' 그것에 따름'의 뜻을 더하는 접사로 사용할 때도 붙여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59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03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002
70 (공장)부지 바람의종 2007.10.13 7648
69 '첫'과 '처음' 바람의종 2008.09.18 8697
68 '지'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05 9126
67 '전(全), 총(總)'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27 14985
66 '작'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10.01 10558
65 '자처'와 '자청' 바람의종 2011.05.01 9107
64 '이/가' '을/를' 바람의종 2009.03.27 5561
63 '이' '히' 거참 헷갈리네 바람의종 2008.07.03 7021
62 '우레'가 운다 바람의종 2008.05.25 7799
61 '연륙교'의 발음은? 바람의종 2012.01.06 10736
60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中) 바람의종 2008.06.22 5488
59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下) 바람의종 2008.06.23 5946
58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上) 바람의종 2008.06.21 6806
57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바람의종 2008.04.22 9787
56 '식해(食)'와 '식혜(食醯)' 바람의종 2009.02.22 7569
55 '숫'을 쓰는 동물 바람의종 2012.09.25 10003
» '상(上)'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2.06.13 10213
53 '사과'의 참뜻 / 사람의 짓 風文 2020.07.14 2033
52 '붓'의 어원 風文 2023.08.18 1572
51 '받다'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18 25483
50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201
49 '밖에'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16 109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