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8116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하모, 갯장어, 꼼장어, 아나고, 붕장어

장어는 여름철 무더위에 지친 사람들이 기운을 돋우기 위해 잘 먹는 식품이다. 민물고기인 뱀장어가 대표 격이지만 그 외에도 비슷하게 생긴 녀석들이 많고 이름도 헷갈린다.

 남쪽 바닷가에 가면 여름 한 철 잠깐 먹을 수 있는 '하모 '가 있다. 회로 먹으면 부드럽게 씹히는 맛이 일품이다. 경남 지역 방언으로 '아무렴'을 '하모'라고 하는데 회로 먹는 '하모'도 여기서 유래된 것이 아닐까 생각할 수 있지만 이때의 '하모(はも.)'는 일본어다. 우리말로는 갯장어라고 부른다. 뱀장어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양턱이 튀어나왔고 큰 송곳니가 있으며 2m 정도까지 자란다. 갯장어를 경남 방언으로는 참장어라고도 한다.

 횟집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아나고(あなご.穴子)'. 이 명칭도 역시 일본어이며 우리말로는 ''붕장어, 바닷장어''라고 한다. 붕장어도 뱀장어와 비슷하지만 입이 크고 이빨이 날카로우며 측선을 따라 흰 구멍이 줄지어 있다.

 더위가 숙어지는 저녁 무렵 포장마차에서는 안주거리로 ''꼼장어''또는 ''곰장어''가 인기를 끄는데 이들의 정확한 명칭은 먹장어다. 먹장어는 턱이 없고 입이 빨판처럼 생겼으며 껍질이 부드럽고 질겨서 지갑 등을 만드는 데 쓰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70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20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121
3260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205
3259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206
3258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207
3257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208
3256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208
3255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208
3254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212
3253 까치발 風文 2023.11.20 1213
3252 풀어쓰기, 오촌 아재 風文 2022.10.08 1214
3251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215
3250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1215
3249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216
3248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219
3247 김 여사 風文 2023.05.31 1220
3246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222
3245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224
3244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224
3243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224
3242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224
3241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226
3240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226
3239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風文 2022.07.11 12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