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3337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목소리, 한 목소리, 한걸음, 한 걸음

 어떤 사안에 대해 ''같은 견해나 사상을 표현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를 때 ''한 목소리''라고 띄어서 적는 경우가 많지만 이때는 ''한목소리''라고 붙여 써야 한다. 즉 "미.일은 한목소리로 북한을 성토했다"처럼 쓰는 게 옳다. 반면 "숲 속에서 ''한 목소리''를 들었다"에서처럼 ''어떤 목소리''나 ''목소리 하나''라는 뜻으로 사용할 때는 띄어 써야 한다.

 ''한''은 의미가 다양하다. ''책 한 권''의 경우는 그 수량이 하나임을 뜻하고 "옛날 한 총각이 살았는데…"에서는 ''어떤''의 뜻을 나타내며 "그들은 한마을에 살아서 서로 친하다"의 경우는 ''같음''을 나타낸다. 앞의 둘은 관형사이므로 띄어 써야 하고 후자는 접두사여서 붙여 쓴다.

 ''한걸음/한 걸음''도 의미에 따라 띄어쓰기가 다르다. "그는 ''한 걸음''씩 목표를 향해 나아갔다"에서처럼 수량이 하나라는 뜻이면 띄어 써야 하고 "그는 병원까지 ''한걸음''에 달려갔다"처럼 ''쉬지 않고 내쳐 걸었다''라는 의미이면 띄어 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2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90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715
180 한 가닥 하다 바람의종 2009.12.14 10588
179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464
178 한 손 바람의종 2007.04.02 10987
177 한(限) 바람의종 2010.06.01 12008
176 한강과 사평 바람의종 2008.06.05 7726
175 한거 가 가라! file 바람의종 2009.09.01 6548
174 한계와 한도 바람의종 2011.12.30 8504
173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790
172 한글 바람의종 2010.07.19 8684
171 한글 맞춤법 강의 - 박기완 윤영환 2006.09.04 26382
170 한글과 우리말 바람의종 2008.02.19 7491
169 한글로 번역한다? 바람의종 2009.12.18 9753
168 한글박물관 / 월식 風文 2020.06.09 1782
167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648
166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514
165 한나절, 반나절, 한겻 바람의종 2008.11.23 10104
164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435
163 한눈팔다 바람의종 2007.04.02 12325
162 한라산과 두무산 바람의종 2008.03.04 9662
161 한량 바람의종 2007.09.12 8617
160 한마음 / 한 마음 바람의종 2011.11.27 13181
159 한머사니 먹었수다! 바람의종 2009.09.18 74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