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19 10:14

햇쌀, 햅쌀, 해쌀

조회 수 14258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햇쌀, 햅쌀, 해쌀

우리말에서 '그해에 난 어떤 것'을 가리킬 때는 주로 접두사 '해-/햇-'이 쓰인다. '해암탉, 해콩, 해팥/햇감자, 햇과일, 햇김, 햇나물, 햇밤, 햇벼, 햇병아리, 햇보리, 햇비둘기' 등이 그 예다. '해-/햇-'은 다음에 오는 말이 모음으로 시작하거나 첫 자음이 된소리나 거센소리이면 '해-'를 쓰고, 그렇지 않으면 '햇-'을 쓴다.

그렇다면 '그해에 새로 난 쌀'을 가리키는 말은 무엇일까. 원래 '쌀'은 'ㅆ'이 단어의 첫머리에 오기 때문에 앞의 말대로라면 '해쌀'로 써야 하지만 특별히 '쌀'에는 'ㅂ'을 첨가해 '햅쌀'을 바른 표기로 삼고 있다. 그 이유는 '쌀'이 훈민정음이 만들어진 시기까지는 단어의 첫머리에 'ㅂ'소리를 가지고 있는 ''이었다. '쌀'의 어두에 'ㅂ'소리가 있는 것은 송나라 때 손목이 『계림유사』에서 '쌀'을 '보살(菩薩)'로 표기한 데에서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해'에서 'ㅂ'이 '해'의 받침소리로 나는 것이다. '찹쌀(차+쌀), 멥쌀(메+쌀), 좁쌀(조+쌀), 입쌀(이+쌀) 등도 같은 예다.

단어 첫머리에 'ㅂ'이 흔적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쌀' 이외에 '댑싸리(대+싸리), 접때(저+때), 입때(이+때), 볍씨(벼+씨)' 등이 있다. 그러면 그해에 새로 난 포도나 포도주는 어떻게 적어야 할까. 앞의 말대로라면 '해포도, 해포도주'라고 써야 하는데 그렇게 쓰는 사람은 거의 없다. 대부분 '햇포도, 햇포도주'로 쓴다. 아직 어느 사전도 여기에 대한 언급이 없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9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92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825
3172 얇다, 가늘다 바람의종 2009.08.06 14378
3171 십상이다 바람의종 2010.08.11 14376
3170 고주망태 風磬 2006.09.21 14372
3169 유해, 유골 바람의종 2010.09.05 14367
3168 빈축, 효빈, 눈살, 눈쌀 바람의종 2009.12.04 14357
3167 제작, 제조, 조제 바람의종 2010.07.05 14352
3166 알았습니다. 알겠습니다. 바람의종 2012.06.19 14319
3165 오지랖이 넓다 바람의종 2008.01.27 14296
3164 미소를 띠다 / 미소를 띄우다 바람의종 2009.05.29 14282
3163 죽음을 이르는 말들 file 바람의종 2010.01.08 14261
» 햇쌀, 햅쌀, 해쌀 바람의종 2009.02.19 14258
3161 체신머리, 채신머리 바람의종 2009.07.18 14255
3160 입천장이 '데이다' 바람의종 2012.05.04 14225
3159 ‘앗다’와 ‘호함지다’ 바람의종 2010.04.18 14215
3158 버스 값, 버스비, 버스 요금 바람의종 2010.03.24 14203
3157 부인, 집사람, 아내, 안사람 바람의종 2010.02.15 14199
3156 한식 요리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0.08.19 14176
3155 오사바사하다 風磬 2007.01.19 14173
3154 올곧다 바람의종 2007.03.03 14158
3153 제비초리 바람의종 2007.03.23 14151
3152 동티가 나다 바람의종 2007.12.31 14144
3151 바투 바람의종 2010.11.10 141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