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14 01:35

'ㅣ'모음 역행동화

조회 수 6930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ㅣ'모음 역행동화

딸을 인신매매한 남자들을 상대로 복수극을 펼치는 어머니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에미', 봄날 들판에 아물아물 피어오르는 '아지랭이', 젖먹이 아이나 나이가 많지 않은 딸·며느리를 정답게 이르는 말인 '애기', 체면이 깎이는 일이나 아니꼬운 일을 당해 그에 대한 부끄러움을 느낄 때 쓰는 말인 '챙피하다' 등은 흔히 널리 쓰이는 말이지만 표준말이 아니다. 현대 국어에서는 'ㅣ'모음 역행동화가 일어난 말들은 방언으로 보아 원칙적으로 표준말로 처리하지 않기 때문에 '어미''아지랑이''아기''창피하다' 등으로 써야 옳다.

'ㅣ'모음 역행동화란 뒤의 'ㅣ'모음 혹은 'ㅣ'모음을 갖고 있는 이중모음(야, 여, 요, 유)의 영향을 받아 앞의 '아, 어, 오, 우'가 각각 '애, 에, 외, 위'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예컨대 '곰팡이, 다리미, 손잡이, 아기, 아지랑이, 어미, 지팡이, 지푸라기, 창피하다, 학교' 등을 '곰팽이, 대리미, 손잽이, 애기, 아지랭이, 에미, 지팽이, 지푸래기, 챙피하다, 핵교' 등으로 말하는 것을 이른다.

그런데 이 원칙에는 몇 가지 예외가 있다. '경험이 없어서 일에 서투른 사람이나 차분하지 못해 객기를 잘 부리는 사람'을 일컫는 말인 '풋내기'를 비롯해 '-내기' 형태를 취하는 몇몇 단어(새내기, 서울내기, 시골내기, 신출내기)에서는 'ㅣ'모음 역행동화가 일어난 형태를 표준어로 삼고 있다. '냄비, 동댕이치다, 올챙이'등도 이와 마찬가지다. 이는 이러한 말을 널리 사용하는 언어 현실을 무시하기 어려운 사정 때문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76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2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172
3414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440
3413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446
3412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1476
3411 헷갈리는 맞춤법 風文 2024.01.09 1570
3410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226
3409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237
3408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178
3407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205
3406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256
3405 내일러 風文 2024.01.03 1116
3404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069
3403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119
3402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187
3401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081
3400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172
3399 ‘~스런’ 風文 2023.12.29 1198
3398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135
3397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242
3396 '-시키다’ 風文 2023.12.22 1108
3395 여보세요? 風文 2023.12.22 989
3394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065
3393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97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