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11 15:04

해거름, 고샅

조회 수 8055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해거름, 고샅

'계절의 변화가 놀랍습니다. 무서운 비바람이 우리를 긴장 속에 몰아넣는가 했더니 고개 숙인 벼가 넘실대는 벌판에서는 메뚜기떼가 야단입니다. 어릴 적 추억 하나가 떠오릅니다. 몽골몽골 피어오르는 굴뚝의 연기가 평화로운 해거름, 고샅에 나와 '저녁 먹어라'부르는 어머니의 목소리가 들려오는 듯합니다.'

개발 바람에 삶의 모양이 바뀌다 보니 잊혀 가는 말이 많습니다. 위 글에 나온 '해거름'과 '고샅'. 우리의 옛 정서를 담뿍 담은 고유어입니다. '해거름'은 줄여 '해름'이라고도 하는데, 해가 지기 바로 전의 시간대를 뜻하는 말로 한자어로는 '석양(夕陽)' 또는 '일모(日暮)'라고 표현합니다. 해가 완전히 지고 난 후의 땅거미 질 무렵인 '황혼 (黃昏) ·박야(薄夜)·석음(夕陰)·훈일(日)'보다는 조금 이른 시간을 말합니다.

정겨운 말 '고샅'은 '고샅에서 놀다 오너라' '큰길을 벗어나 어둠이 가득 괸 고불고불한 고샅으로 들다 보면 순간 무서운 생각이 엄습하곤 했다' 등에서 보이는 것처럼 '길'과 관계된 말입니다. 흔히 집 밖이나 마을 밖을 '고샅'으로 알고 있는데 정확하게는 집의 담과 담 사이 골목길을 의미합니다. '고샅'을 소리나는 대로 적어 일부 지방에선 '고삿'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고삿'은 '초가 지붕을 일 때 쓰는 새끼'란 의미로 전혀 다른 말입니다.

참고로 표준어 규정을 만들기 전에는 이런 의미의 '고삿'과 좁은 길의 '고샅'을 구분하지 않고 '고샅'하나로만 표기해 왔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23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78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654
3326 ~라고 / ~고 바람의종 2012.01.24 13879
3325 ~라고 믿다 바람의종 2010.04.27 10960
3324 ~려, ~러 바람의종 2009.09.21 9866
3323 ~로부터 바람의종 2008.11.21 6748
3322 ~마라 / ~말라 바람의종 2009.02.02 9713
3321 ~부터 시작 바람의종 2008.10.26 6663
3320 ~상(上) 줄여쓰기 바람의종 2009.09.21 8645
3319 ~섰거라 바람의종 2010.04.27 10712
3318 ~없다 바람의종 2010.07.26 11380
3317 ~에 대한 바람의종 2008.03.11 7341
3316 ~에 대해, ~에 관해 바람의종 2009.03.26 10849
3315 ~에 의해 바람의종 2009.03.14 6989
3314 ~에 있어서 바람의종 2009.02.10 6956
3313 ~에, ~에게, ~한테, ~더러 바람의종 2008.10.01 8081
3312 ~에게, ~와 바람의종 2010.05.28 8206
3311 ~으로 / ~을 알고 있다 바람의종 2010.01.09 9897
3310 ~의, ~와의 바람의종 2009.02.18 7451
3309 ~이라야, ~이래야 바람의종 2010.04.13 8251
3308 ~중이다 바람의종 2010.03.17 11233
3307 ~하는 듯 하다 / ~하는 듯하다 / ~하는듯하다 바람의종 2010.10.14 16818
3306 ~하므로 ~함으로 바람의종 2008.07.17 8957
3305 ‘-다랗다’ 바람의종 2010.07.19 97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