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11 15:04

해거름, 고샅

조회 수 8079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해거름, 고샅

'계절의 변화가 놀랍습니다. 무서운 비바람이 우리를 긴장 속에 몰아넣는가 했더니 고개 숙인 벼가 넘실대는 벌판에서는 메뚜기떼가 야단입니다. 어릴 적 추억 하나가 떠오릅니다. 몽골몽골 피어오르는 굴뚝의 연기가 평화로운 해거름, 고샅에 나와 '저녁 먹어라'부르는 어머니의 목소리가 들려오는 듯합니다.'

개발 바람에 삶의 모양이 바뀌다 보니 잊혀 가는 말이 많습니다. 위 글에 나온 '해거름'과 '고샅'. 우리의 옛 정서를 담뿍 담은 고유어입니다. '해거름'은 줄여 '해름'이라고도 하는데, 해가 지기 바로 전의 시간대를 뜻하는 말로 한자어로는 '석양(夕陽)' 또는 '일모(日暮)'라고 표현합니다. 해가 완전히 지고 난 후의 땅거미 질 무렵인 '황혼 (黃昏) ·박야(薄夜)·석음(夕陰)·훈일(日)'보다는 조금 이른 시간을 말합니다.

정겨운 말 '고샅'은 '고샅에서 놀다 오너라' '큰길을 벗어나 어둠이 가득 괸 고불고불한 고샅으로 들다 보면 순간 무서운 생각이 엄습하곤 했다' 등에서 보이는 것처럼 '길'과 관계된 말입니다. 흔히 집 밖이나 마을 밖을 '고샅'으로 알고 있는데 정확하게는 집의 담과 담 사이 골목길을 의미합니다. '고샅'을 소리나는 대로 적어 일부 지방에선 '고삿'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고삿'은 '초가 지붕을 일 때 쓰는 새끼'란 의미로 전혀 다른 말입니다.

참고로 표준어 규정을 만들기 전에는 이런 의미의 '고삿'과 좁은 길의 '고샅'을 구분하지 않고 '고샅'하나로만 표기해 왔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75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2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199
136 할 일 없이 / 하릴없이 바람의종 2010.08.03 13002
135 할려고? 하려고? 바람의종 2010.07.25 14615
134 할말과 못할말 바람의종 2008.01.05 7793
133 할망구 바람의종 2007.04.24 11389
132 할미새 바람의종 2009.12.04 10121
131 할증료 바람의종 2007.10.26 7671
130 함께하다/ 함께 하다, 대신하다/ 대신 하다 바람의종 2009.03.29 14627
129 함바집, 노가다 바람의종 2012.11.28 29643
128 함함하다 바람의종 2012.05.18 11335
127 함흥차사 바람의종 2007.12.24 12036
126 합사, 분사 바람의종 2010.07.25 12125
125 합쇼체 바람의종 2010.03.18 12291
124 합하 바람의종 2007.09.20 8521
123 핫도그와 불독 바람의종 2008.09.18 9086
122 핫바지 바람의종 2007.04.24 8381
121 핫어미와 핫아비 바람의종 2010.01.23 11835
» 해거름, 고샅 바람의종 2008.10.11 8079
119 해라體와 하라體 바람의종 2008.05.12 6944
118 해설피 바람의종 2010.05.31 14970
117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584
116 해오라기난초 바람의종 2008.04.05 8676
115 해장 바람의종 2012.07.23 135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