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7 03:39

'난'과 '란'

조회 수 8670 추천 수 2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난'과 '란'

신문이나 잡지에서 글이나 그림 따위를 싣기 위해 마련한 자리를 '난(欄)'이라고 한다. 사회가 다양해지면서, 변화하는 독자의 욕구에 따르기 위해 신문 지면에도 새로운 난들이 점점 늘고 있다. '독자투고란' '인사란' '취업란' '부고란','사람난' '알림난','오피니언난''레저난' 등 문패도 각양각색이다.

그런데 문패들을 들여다보고 있노라면 한 가지 의문이 생긴다. 같은 '欄'자를 쓰는데도 어느 것은 '난'으로 쓰고, 어느 것은 '란'으로 쓰니 말이다. 한자어 '欄'은 앞 말에 따라 '난'이 되기도 하고 '란'이 되기도 한다. 여기에는 규칙이 있다.

'欄'이 독립적으로 쓰일 때는 두음법칙이 적용돼 '난'으로 표기한다. 독자의 소리를 싣는 난. 빈 난을 채우시오. 새로운 난을 마련하다.

그러나 다른 말과 결합해 쓰일 때는 앞 말이 한자어이면 '란'으로 쓴다. 공란(空欄) 고정란(固定欄) 앞 말이 고유어나 외래어일 때는 '난'으로 쓴다. 어린이난 가십난(gossip난)

간단히 정리하면 한자어와 결합할 때만 '란'을 쓰고 나머지 경우엔 '난'을 쓰는 것이다. 문패는 그 집의 얼굴이다. 귀한 손님들이 얼굴을 찡그리지 않고 자신의 집을 찾아올 수 있도록 문패를 바르게 달자.

한규희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76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43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244
3414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2190
3413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2267
3412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2290
3411 헷갈리는 맞춤법 風文 2024.01.09 2360
3410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662
3409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711
3408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654
3407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755
3406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550
3405 내일러 風文 2024.01.03 1516
3404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536
3403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619
3402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700
3401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418
3400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609
3399 ‘~스런’ 風文 2023.12.29 1733
3398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688
3397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778
3396 '-시키다’ 風文 2023.12.22 1585
3395 여보세요? 風文 2023.12.22 1322
3394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512
3393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14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