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1 12:50

"정한수" 떠놓고…

조회 수 13391 추천 수 18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정한수" 떠놓고…

멀리 나간 가족을 위해, 군대 간 아들을 위해, 병이 난 가장을 위해 옛날 우리 어머니들은 꼭두새벽에 우물로 나가 정성스레 떠온 맑은 물로 천지신명께 치성을 드렸다. 이런 장면은 소설이나 노래 등에 많이 묘사되는데 대중가요 '전선야곡'에도 '정한수 떠다놓고 이 아들의 공 비는 어머님의 흰머리가 눈부시어 울었소'란 구절이 나온다. 이때의 '정한수'는 정화수(井華水)를 발음에 이끌려 잘못 쓴 것이다. 한약재 복령(茯)을 '봉양'으로 잘못 쓰는 것도 마찬가지다. 정화수는 새벽에 사람들이 긷기 전 처음으로 퍼 올린 우물물을 말한다. 이 물은 치성드릴 때만이 아니라 약을 달이거나 먹을 때도 쓴다. 우리 선조는 물을 수십 가지로 분류해서 썼다. 예를 들자면 정월에 처음 내린 빗물인 춘우수(春雨水), 가을철 이슬을 받은 추로수(秋露水), 휘저어서 거품이 생긴 감란수(甘爛水, 일명 百勞水), 순하게 흐르는 물인 순류수(順流水), 빨리 흐르는 여울물인 급류수(急流水), 황토로 만든 지장(地漿) 등을 용도에 따라 골라 사용했다. 이렇게 물의 종류를 나눠 용처를 달리한 옛 어른들의 발상이 재미있으면서도 놀랍다.

김형식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73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29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216
840 안겨오다 바람의종 2008.04.06 7263
839 이름 부르기 바람의종 2008.04.06 7314
838 생물·화학무기 바람의종 2008.04.05 10495
837 해오라기난초 바람의종 2008.04.05 8452
836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352
835 다르다와 틀리다 바람의종 2008.04.04 6429
834 바람 바람의종 2008.04.04 5965
833 거꿀반명제 바람의종 2008.04.04 6217
832 내 탓이오 바람의종 2008.04.03 7307
831 선과 청혼 바람의종 2008.04.03 6616
830 무너미·목넘이 바람의종 2008.04.03 6792
829 맥문동 바람의종 2008.04.02 6384
828 "빠르다"와 "이르다" 바람의종 2008.04.02 9247
827 ‘당신의 무관심이 …’ 바람의종 2008.04.02 6525
» "정한수" 떠놓고… 1 바람의종 2008.04.01 13391
825 마라초 바람의종 2008.04.01 6255
824 서방과 사위 바람의종 2008.04.01 7995
823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7124
822 로또 복권 바람의종 2008.03.31 8852
821 괘씸죄 바람의종 2008.03.31 7903
820 직통생 바람의종 2008.03.31 7189
819 오누이 바람의종 2008.03.31 79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