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6.09.09 20:35

에요, 예요

조회 수 19863 추천 수 10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http://bbs.joins.com/content.asp?board_idx=3&page=32&tb_name=korean초등학생 자녀를 둔 독자의 전화를 받았다.

아이의 숙제를 돌봐주면서 '하나예요, 둘이에요'라고 쓰기에 ''하나예요'라 했으면 '둘이예요'로 써야지' 했더니 아이가'선생님은 '둘이에요'로 가르쳐 주셨는데'하는 바람에 아주 곤혹스러웠다는 하소연이었다.

이럴 땐 문법적 설명보다 실제 쓰이는 예를 들어보는 게 낫다.

(예1) 하나예요. 저예요. 나비예요.

(예2) 둘이에요. 당신이에요. 꽃이에요.

눈치 빠른 독자는 벌써 알아챘겠지만 '-예요'는 받침 없는 체언 뒤에, '-이에요'는 받침 있는 체언 뒤에 쓰인다. 그런데…

'그럼 '패랭이예요'는요?' '아, 그건 '패랭이 +예요'입니다.'

'저기, 한 가지만 더요, 그럼 '아니예요'는 '아니'가 받침이 없으니까 '-예요'가 붙어 '아니예요'가 되는 거죠?'

예리한 질문이다. 답변이 쉽지 않을 듯. 어쨌거나 정답은 '아니에요'.

위에서 설명했던 것과는 경우가 다르다. '둘이에요(둘+이+에요)'는 체언(둘)에 서술격조사 (이)와 어미(에요)로 구성돼 있다.

그러나'아니에요'는 형용사 '아니다'의 어간 '아니'에 어미'-에요'가 붙는 경우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39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78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736
26 헷갈리는 맞춤법 風文 2024.01.09 1549
25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1467
24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431
23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414
22 ‘시월’ ‘오뉴월’ 風文 2024.01.20 1436
21 바람을 피다? 風文 2024.01.20 1332
20 김치 담그셨어요? 風文 2024.02.08 1460
19 금수저 흙수저 風文 2024.02.08 1331
18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270
17 떼려야 뗄 수 없는 인연 風文 2024.02.17 1288
16 ‘요새’와 ‘금세’ 風文 2024.02.18 1362
15 배레나룻 風文 2024.02.18 1277
14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1323
13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1420
12 온나인? 올라인? 風文 2024.03.26 1253
11 웃어른/ 윗집/ 위층 風文 2024.03.26 1298
10 갑질 風文 2024.03.27 1396
9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風文 2024.03.27 1519
8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466
7 서거, 별세, 타계 風文 2024.05.08 522
6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風文 2024.05.10 432
5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風文 2024.05.10 3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