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5905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뜨더국’과 ‘마치다’

‘수제비’를 북녘에서는 ‘뜨더국’이라고 한다. 밀가루를 반죽하여 끓는 물에 조금씩 뜯어 넣어 익힌 음식이 수제비인데, 지난날 여름철에 농촌에서 머슴들이 풀베기할 때 간식으로 먹거나 하루 종일 벤 퇴비용 풀을 밤에 일꾼들과 함께 작두에 썰고 나서 쉴 때 옷소매로 땀을 훔쳐 가며 먹던 음식이다. 지금은 계절에 관계없이 별미로 찾는 음식이 되었다. 북녘에서 ‘뜨더국’이 쓰인 예로는 “낟알을 구해 오는 문제가 화제에 오른 다음날 아침 윤칠녀는 전에 없는 밀가루로 뜨더국을 끓이였고 잣나무 잎을 우려서 차물 대신 내놓았다.”(<백두산 기슭>,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78년, 141쪽) 등이 있다. 이때 ‘낟알’은 ‘곡식’의 총칭이다.

‘마치다’라는 말이 있다. 우리는 “일을 마치고 귀가하다”에서 보는 것처럼 ‘끝마치다’의 의미로 쓴다. 그러나 북녘에서는 이와 달리 “더러운 것을 묻히여 못쓰게 만들다”의 의미로 쓴다. 문맥에서는 “그러나 그이께서 흙 묻은 손을 비벼 터시며 내려오시자 박창우와 최승보는 나이 생각도 며느리, 딸들 앞이라는 생각도 다 잊어버리고 앞을 다투어 지붕 우로 올라갔다. ‘조심하십시오. 옷 마치겠습니다.’ 김성주 동지께서는 껄껄 웃으시며 어린애같이 덤비는 두 노인에게 말씀하시였다.”(<대지는 푸르다>, 4·15 문학창작단, 문예출판사, 1981년, 618쪽)와 같이 쓰인다.

전수태/고려대 전문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70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19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114
3436 暴 (포와 폭) 바람의종 2011.11.10 15197
3435 히읗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10.21 13769
3434 히로뽕 바람의종 2008.02.20 12861
3433 흰 백일홍? 風文 2023.11.27 1626
3432 희쭈그리 바람의종 2008.02.29 13559
3431 희망 바람의종 2007.10.11 10989
3430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9860
3429 흡인력, 흡입력 바람의종 2009.11.12 15530
3428 흡연을 삼가 주십시오 바람의종 2008.03.08 15981
3427 흙성과 가린여흘 바람의종 2008.05.31 11041
3426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327
3425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381
3424 흉칙하다 바람의종 2009.02.02 16091
3423 흉내 / 시늉 바람의종 2009.09.07 11627
3422 휴거 바람의종 2007.10.10 15063
3421 휫바람, 휘바람, 휘파람 바람의종 2009.06.30 15439
3420 휘호 바람의종 2008.11.13 10791
3419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233
3418 휘파람새 file 바람의종 2009.09.03 11933
3417 휘발성 바람의종 2010.08.07 14698
3416 휘거 風文 2014.12.05 24887
3415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2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