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0.03.02 22:17

그르이께 어짤랑교?

조회 수 6177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그르이께 어짤랑교?

‘그르이께’는 “그리이께네”와 더불어 표준어 ‘그러니까’에 대응하는 전형적인 경상도 고장말이다. ‘그르이께’의 또다른 형태의 고장말로는 ‘그러이께, 그러이까, 그르이깨’와 ‘그러니까니, 그러이까네, 그러이꺼네, 그르이께네’ 등을 들 수 있다. 위의 고장말들은 대부분 주로 경상도 지역에서 쓰지만, ‘그러니까니’는 강원·제주·충청도에서도 두루 쓰며, ‘그러이까네’는 강원도에서도 쓰는 말이다. “그르이께 딸 너이를 그릏게 놨대요.”(<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그르이께네 인제 그래고 디루고 갔부랬그던.”(위 책) “그러니까니 뭘 먹을 때는 고시래도 좀 하고 해야 한다구.”(<장한몽> 이문구) “그러이까 넘어가 뿌린 기지요.”(<노을> 김원일)

 또한 ‘그러니까’에 대응하는 전라도 고장말로는 ‘긍께, 그렁께, 그랑께’ 등을 들 수 있으며, 제주도 고장말로는 ‘게나네’와 ‘게난’을 들 수 있다. ‘긍께’는 주로 전라도에서만 쓰는 말이지만, ‘그렁께’는 전라도뿐만 아니라 충청도·전라도와 인접한 경상도에서도 쓰는 말이다. 특히 ‘그랑께’는 전남 지역에서 주로 쓴다. “긍께 내가 시방 미안하다고 안 그랬소.”(<부초> 한수산) “그랑께 공연히 사람 욕뵈지 마시오잉.”(<외촌장 기행> 김주영) “게난 뭐 이제 팡(파서) 봐사(봐야) 알주마는(알겠지만)…”(<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게나네 원 아도(말해도) 대답도 안 해연(했어).”(위 책)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60279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6783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21707
    read more
  4. ‘-land’ 가 붙는 지명 표기

    Date2010.06.01 By바람의종 Views12164
    Read More
  5. ‘감투’와 ‘망탕’

    Date2010.03.23 By바람의종 Views16167
    Read More
  6. ‘뜨더국’과 ‘마치다’

    Date2010.04.02 By바람의종 Views16234
    Read More
  7. 단어를 쪼개지 말자

    Date2012.05.02 By바람의종 Views11305
    Read More
  8. "-읍니다""-습니다"

    Date2008.05.03 By바람의종 Views8813
    Read More
  9. "~대" 와 "~데"

    Date2008.05.13 By바람의종 Views10332
    Read More
  10. "~들"의 남용

    Date2009.02.22 By바람의종 Views8136
    Read More
  11. "~주다"는 동사 뒤에만 온다

    Date2009.07.25 By바람의종 Views12656
    Read More
  12. "~하에"

    Date2009.10.07 By바람의종 Views13474
    Read More
  13. "가지다"를 버리자

    Date2008.07.31 By바람의종 Views10115
    Read More
  14. "가지다"를 버리자 2

    Date2008.08.03 By바람의종 Views10210
    Read More
  15. "드리다"의 띄어쓰기

    Date2009.09.01 By바람의종 Views18726
    Read More
  16. "못"의 띄어쓰기

    Date2009.03.25 By바람의종 Views16746
    Read More
  17. "빠르다"와 "이르다"

    Date2008.04.02 By바람의종 Views9370
    Read More
  18. "뿐"의 띄어쓰기

    Date2008.11.03 By바람의종 Views9421
    Read More
  19. "있다, 없다"의 띄어쓰기

    Date2009.07.13 By바람의종 Views12842
    Read More
  20. "잘"과 "못"의 띄어쓰기

    Date2009.08.27 By바람의종 Views24071
    Read More
  21. "정한수" 떠놓고…

    Date2008.04.01 By바람의종 Views13554
    Read More
  22. "차"의 띄어쓰기

    Date2009.09.06 By바람의종 Views12378
    Read More
  23. % 포인트

    Date2012.06.11 By바람의종 Views9516
    Read More
  24. 돟습니다레!

    Date2008.09.27 By바람의종 Views6749
    Read More
  25. 믜운이

    Date2009.02.07 By바람의종 Views9134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