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26 12:08

엄치미 좋아!

조회 수 7381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엄치미 좋아!

‘엄치미’는 표준어 ‘꽤, 제법, 많이’에 대응하는 고장말로, 주로 경상 지역에서 쓴다. “사나라꼬(남자라고) 일로(일을) 엄치미 한다.” ‘엄치미’와 유사한 말로는 ‘엉체미~엉채미’를 들 수 있는데, <표준국어대사전>에선 ‘엉체미’를 ‘많이’의 잘못으로 풀이했다. 또 <우리말큰사전>에서 ‘엉체미’는 ‘많이’의 고장말로만 풀이했으나, <한국방언연구>에서는 함경북도 고장말로 보고한 바 있다.

‘엄치미’와 ‘엉체미’는 모두 ‘대견하다, 대단하다’라는 뜻의 경상도 고장말 ‘엄첩다’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여보게 만술아비/ 니 정성이 엄첩다/ 이승 저승 다 다녀도 인정보다 귀한 것 있을라꼬”(박목월의 시 ‘만술 아비의 축문’)

‘엄치미’와 대응하는 또다른 형태의 경상도 고장말은 ‘엄치’다. “날이 샐라 카믄 엄치 있어야겄지?”(<토지>, 박경리) 겉으로 보면 ‘엄치’가 ‘엄치미>엄치’와 같은 변화를 겪은 고장말로 생각할 수도 있으나, 꼭 그렇다고만은 볼 수 없다. 조정래의 <태백산맥>에 나타나는 ‘엄칭이’(엄청, 많이)는 부사 ‘엄청’과 부사를 만드는 토 ‘-이’가 결합된 ‘엄청이’가 ‘엄청이>엄쳉이>엄칭이’로 변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근디, 굿값얼 앞돈만도 엄칭이 줬다미로?” 따라서 고장말 ‘엄치’나 ‘엄치미’는 ‘엄칭이>엄치이>엄치’ 혹은 ‘엄첩이>엄쳅이>엄칩이>엄치미~엄치’와 같은 변화를 겪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39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88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848
3436 ‘-land’ 가 붙는 지명 표기 바람의종 2010.06.01 12167
3435 ‘감투’와 ‘망탕’ 바람의종 2010.03.23 16169
3434 ‘뜨더국’과 ‘마치다’ 바람의종 2010.04.02 16238
3433 단어를 쪼개지 말자 바람의종 2012.05.02 11313
3432 "-읍니다""-습니다" 바람의종 2008.05.03 8817
3431 "~대" 와 "~데" 바람의종 2008.05.13 10346
3430 "~들"의 남용 바람의종 2009.02.22 8136
3429 "~주다"는 동사 뒤에만 온다 바람의종 2009.07.25 12660
3428 "~하에" 바람의종 2009.10.07 13479
3427 "가지다"를 버리자 바람의종 2008.07.31 10115
3426 "가지다"를 버리자 2 바람의종 2008.08.03 10210
3425 "드리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1 18729
3424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5 16746
3423 "빠르다"와 "이르다" 바람의종 2008.04.02 9373
3422 "뿐"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1.03 9421
3421 "있다, 없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13 12849
3420 "잘"과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27 24074
3419 "정한수" 떠놓고… 1 바람의종 2008.04.01 13565
3418 "차"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6 12378
3417 % 포인트 바람의종 2012.06.11 9516
3416 돟습니다레! 바람의종 2008.09.27 6750
3415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91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