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29 13:40

크레용, 크레파스

조회 수 9329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크레용, 크레파스

외래어

산과 들이 단풍으로 물든 요즘 풍경을 ‘잘 그린 수채화와도 같다’고 표현하는 수가 있다. 수채화는 물감으로 그리는 그림인데, 재료를 다루기 어려워 열 살이 넘어서야 그려 보았던 기억이 있다. 요즘도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은 막대 모양 크레용 또는 크레파스로 그림을 배운다. 처음 크레파스를 봤을 때의 신비감, 그리고 같은 크레파스인데 나보다 그림을 잘 그리는 친구나 선생님을 보며 감탄했던 기억들이 있을 터이다. 도화지 한 면을 채우느라 팔이 아프도록, 만만한 하늘색 조각을 문질렀던 추억도 새삼 떠오른다.

우리에게 크레용(crayon)과 크레파스(Cray-Pas, craypas)는 같은 말로 인식돼 있다. 크레용은 프랑스 말로 연필 또는 연필화를 기본 의미로 취하며, 뜻이 넓어져 색연필, 파스텔과 크레파스까지를 아우르는 말이 됐다.

크레파스는 안료에 파라핀이나 목랍(木蠟)을 섞어 녹여 굳혀 만든 그림 재료인테, 1910년대에 일본에서 발명됐다는 기록이 있다. ‘크레용’과 ‘파스텔’(pastel) 앞부분을 따서 만든 상표명이었다가 나중에 일반명사가 됐다. 이것이 우리가 크레용이라고도 하는 ‘크레파스’다.

발명지인 일본어에서는 ‘구레파스’(クレパス)라고 하는 대신에 ‘파스테루구레욘’(パステルクレヨン)이라고도 한다. 영어권에서는 ‘크레파스’가 그대로 쓰이기도 하지만 본디 표현은 ‘오일 파스텔’(oil pastel)이다.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56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08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060
3128 너무 風文 2023.04.24 1698
3127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698
3126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701
3125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703
3124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709
3123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709
3122 '넓다'와 '밟다' 風文 2023.12.06 1713
3121 8월의 크리스마스 / 땅꺼짐 風文 2020.06.06 1717
3120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717
3119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風文 2022.07.14 1719
3118 혼성어 風文 2022.05.18 1720
3117 질척거리다, 마약 김밥 風文 2022.12.01 1721
3116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721
3115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722
3114 비는 오는 게 맞나, 현타 風文 2022.08.02 1723
3113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風文 2022.09.23 1725
3112 전설의 마녀, 찌라시 / 지라시 風文 2020.06.16 1726
3111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726
3110 납작하다, 국가 사전을 다시? 주인장 2022.10.20 1728
3109 백열 / 풋닭곰 風文 2020.05.09 1730
3108 하룻강아지 / 밥약 風文 2020.05.29 1736
3107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風文 2022.08.21 17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