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3.14 02:56

허망헙디다

조회 수 6814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허망헙디다

고장말

‘-수다’나 ‘-우다’가 표준어 ‘-습니다’에 대응하는 제주와 북녘말이라면, ‘-습디다’는 ‘-습니다’에 해당하는 말이다. “방죽 바닥에 물괴기가 기양 막 드글두글 헙디다. 시커매요.”(<혼불> 최명희) “내부둣시요. 뜨거우먼 지가 돌아 안 눌랍디여.”(<한국구비문학대계> 전남편) 표준말에도 ‘-습디다’가 있지만, 전라말 ‘-습디다’와는 다르다. 표준말 ‘-습디다’는 예사높임이지만, 전라말 ‘-습디다’는 아주 높이는 말이다.

표준말에서 ‘-습니다’의 의문형은 ‘-습니까’이지만, 전라말에서는 ‘-습디여’다. “음마, 다래가 폴세 익었습디여?”(<태백산맥> 조정래) “일이나 시길라먼 불릉게 그러겄지맹. 이뿌다고 씰어 줄라고 부를랍디여?”(<혼불> 최명희)

‘-습디여’의 또다른 형태는 ‘-읍딩겨/습딩겨’와 ‘-읍딘짜/습딘짜’다. ‘-습딩겨/읍딩겨’는 주로 전남 서부와 전북 서남부 쪽에서, ‘-읍딘짜/습딘짜’는 진도 쪽에서 쓴다. “아, 열 마리 잡어서 저 되는디 말여 한 마리 안 잡어 줬다고 그 안 잡어 줄랍딩겨?”(<한국구비문학대계> 전북편) “편히 주무셨소? 방일랑 안춥습딩겨?”(위 책 전남편) “그 전에 그 영감님을 사과(사귀어) 갖고 배를 한나 쬐깐한 것을 안 샀습딘짜?”

전남 남해안 쪽에서는 ‘-습디꺄’가 쓰이기도 한다. “은제 배 타고 나가라고 꾸물그리쌉디꺄?” “누가 나를 막을랍디꺄?”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8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34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244
3348 말의 세대 차 風文 2023.02.01 1377
3347 짧아져도 완벽해, “999 대 1” 風文 2022.08.27 1378
3346 모호하다 / 금쪽이 風文 2023.10.11 1378
3345 잃어버린 말 찾기, ‘영끌’과 ‘갈아넣다’ 風文 2022.08.30 1382
3344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미래를 창조하는 미래 風文 2022.05.17 1383
3343 속담 순화, 파격과 상식 風文 2022.06.08 1386
3342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風文 2022.08.05 1389
3341 성인의 외국어 학습, 촌철살인 風文 2022.06.19 1390
3340 북혐 프레임, 인사시키기 風文 2022.05.30 1393
3339 인과와 편향, 같잖다 風文 2022.10.10 1396
3338 영어의 힘 風文 2022.05.12 1398
3337 1일1농 합시다, 말과 유학생 風文 2022.09.20 1398
3336 시간에 쫓기다, 차별금지법과 말 風文 2022.09.05 1399
3335 날아다니는 돼지, 한글날 몽상 風文 2022.07.26 1400
3334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400
3333 말과 상거래 風文 2022.05.20 1405
3332 경평 축구, 말과 동작 風文 2022.06.01 1406
3331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風文 2020.05.24 1408
3330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409
3329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1411
3328 군색한, 궁색한 風文 2023.11.21 1412
3327 역사와 욕망 風文 2022.02.11 14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