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07 00:05

믜운이

조회 수 904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믜운이

사람이름

사람이름에 ‘禿’(대머리 독)이 자주 쓰였다. <동국신속삼강행실>을 보면 한자로 禿終(독종)이라 적고 한글로 ‘믠죵이’라 하였다. ‘믜다’(禿)는 머리가 벗어졌다는 말이다. ‘믜-’가 든 이름에 ‘믜/므이(해삼)·믜놈이·믜돌이·믜심이·믜장이·믠덕이·믠동이·믠두이·믠즁이·믤돌이’가 있다. ‘민둥산’은 ‘믠동이(대머리) 산’이며 겸연쩍고 어색할 때 ‘민둥하다’고 한다.

왕숙천 동쪽 남양주시 한강 나루는 예로부터 독음진(禿音津)이라 불렀다. 현재 이곳 수석동에 ‘내미움·외미움’이란 땅이름이 있음을 볼 때 禿音은 ‘믬’이 아닌 ‘믜움’을 적었던 것 같다. 渼音津(미음진)이란 다른 표기에서 보듯 이 나루는 ‘믜움나루/믜음나루’로 불린 모양이다.

‘밉다’는 말을 적을 때도 禿이 쓰였다. ‘밉다’는 옛말로 ‘믭다’다. ‘믜운이(禿云)·믭동이·믭쇠’는 그런 뜻으로 쓰인다. ‘믜·믠·믤’ 자리에 ‘미·민·밀’로 적은 이름도 있으며, ‘미금이·미달이·미동이·미심이·민이·민동이·밀금이·밀동이’는 그런 보기다.

미운 얼굴이나 행동, 미운 짓을 하거나 밉게 생긴 사람을 ‘밉상’이라고 하며, 이름에도 ‘밉상이’가 있다. ‘밉’(未邑)이 든 이름에 ‘밉돌이·밉사리·밉쇠’가 있다. 이름은 ‘미우나 고우나’ 부모에겐 ‘금쪽같은 내 새끼’였으리라.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7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26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190
3436 ‘-land’ 가 붙는 지명 표기 바람의종 2010.06.01 12082
3435 ‘감투’와 ‘망탕’ 바람의종 2010.03.23 16026
3434 ‘뜨더국’과 ‘마치다’ 바람의종 2010.04.02 16131
3433 단어를 쪼개지 말자 바람의종 2012.05.02 11208
3432 "-읍니다""-습니다" 바람의종 2008.05.03 8716
3431 "~대" 와 "~데" 바람의종 2008.05.13 10240
3430 "~들"의 남용 바람의종 2009.02.22 8009
3429 "~주다"는 동사 뒤에만 온다 바람의종 2009.07.25 12537
3428 "~하에" 바람의종 2009.10.07 13338
3427 "가지다"를 버리자 바람의종 2008.07.31 10015
3426 "가지다"를 버리자 2 바람의종 2008.08.03 10114
3425 "드리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1 18632
3424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5 16633
3423 "빠르다"와 "이르다" 바람의종 2008.04.02 9302
3422 "뿐"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1.03 9327
3421 "있다, 없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13 12693
3420 "잘"과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27 23927
3419 "정한수" 떠놓고… 1 바람의종 2008.04.01 13472
3418 "차"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6 12281
3417 % 포인트 바람의종 2012.06.11 9443
3416 돟습니다레! 바람의종 2008.09.27 6703
»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90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