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2.11 03:11

가마귀

조회 수 9047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마귀

사람이름

세조 4년(1458년), 조영무 장군의 손자 조완규는 계유정난 때 간적으로 몰렸다. 부인 ‘조이’, 딸 ‘가이’, 누이 ‘정정’, 첩의 딸 ‘옥금이’뿐만 아니라 조카인 ‘가마귀’(加麻耳) 또한 노비로 갔다. 10년 지나 가마귀와 정정은 풀려났다. 까마귀는 중세말로 ‘가마괴’인데 이름에 ‘가마귀’로 쓰이고 있다. 땅이름에 ‘가마괴목’(加<9EBF>塊項)이 있음을 볼 때 ‘가마괴·가마귀’가 함께 쓰였던 것 같다. ‘가마귀’는 오랑캐 사람이름에도 보인다.

‘귀’로 끝나는 이름에 ‘개귀·금귀·단귀·돗귀·멍귀·쇠귀·죵귀·칠귀’ 따위가 있다. ‘개귀·돗귀·쇠귀’는 ‘개·돼지·소’의 귀와 닮은 모양이다. 나귀·방귀·자귀라는 이름도 있다. 날 방향이 자루 방향과 나란하면 ‘도끼’, 수직하면 ‘자귀’다. 자귀보다 큰 것이 ‘까뀌’다. ‘귀’로 시작되는 이름에 ‘귀개·귀금이·귀덕이·귀동이·귀딘이·귀망이·귀먹덩이·귀복이·귀톨이’가 있다. ‘멍귀·귀망이’는 같은 뜻의 말로 생각된다. 고장말 ‘귀먹댕이’(귀머거리)는 ‘귀먹덩이’의 내림인 모양이다.

귀는 ‘바깥귀·가운뎃귀·속귀’로 나뉘며 귓바퀴의 아래쪽에 붙어 있는 살을 ‘귓불/귓밥’이라고 한다. 남의 말을 잘 들으려면 먼저 귀를 비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상대를 존중한다면 마음으로도 소통은 가능할 것이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19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73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637
3194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204
3193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216
3192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187
3191 속담 순화, 파격과 상식 風文 2022.06.08 1084
3190 비대칭적 반말, 가짜 정보 風文 2022.06.07 1067
3189 대화의 어려움, 칭찬하기 風文 2022.06.02 1370
3188 경평 축구, 말과 동작 風文 2022.06.01 1087
3187 올림픽 담론, 분단의 어휘 風文 2022.05.31 1082
3186 북혐 프레임, 인사시키기 風文 2022.05.30 1172
318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벤처대부는 나의 소망 風文 2022.05.26 1126
3184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333
3183 막장 발언, 연변의 인사말 風文 2022.05.25 992
3182 왜 벌써 절망합니까 - 훼방만 말아 달라 風文 2022.05.23 1023
3181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223
3180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214
3179 말과 상거래 風文 2022.05.20 1137
3178 귀순과 의거 관리자 2022.05.20 957
3177 혼성어 風文 2022.05.18 1314
3176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359
3175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미래를 창조하는 미래 風文 2022.05.17 1081
3174 외국어 선택하기 風文 2022.05.17 975
3173 영어 절대평가 風文 2022.05.17 10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