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24 05:08

풍개

조회 수 10013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풍개

사람이름

효정 옹주가 애를 낳고 산후증으로 숨지자 중종은 부마인 조의정을 잡아들이라 했다. 옹주의 계집종 ‘풍가이’(豊加伊)를 시앗으로 삼으면서 조의정이 옹주는 종처럼, ‘풍가이’는 옹주처럼 대접했다고 한다. 옹주를 깔보고 소박받게 하였으니 ‘풍가이’를 의금부로 보내 죄를 물으라 하였다. 이 시절 대궐에서 투기가 심했다고 한다. 임금 사위는 시앗을 두지 못하였으며 어길 때는 어미와 함께 곤장을 맞기도 하였다.

‘풍가이’는 ‘풍가·풍개’(豊加·豊介)라고도 하였다. ‘풍개’는 고장말로 자두다. 자두는 ‘오얏’, 고장 따라 ‘옹아’로도 부른다. 사람이름에는 ‘갈마·감·능금·도토리·동백·딜위(찔레)·수영·잣’ 따위 말도 쓰인다. 갈매나무 열매인 ‘갈매’는 짙은 쪽빛을 띠어 검푸른 색을 ‘갈매빛’이라 하며, ‘갈마동·갈마고개·갈매못/갈마무시’처럼 땅이름에도 들어 있다.

‘수영’은 여뀟과 여러해살이풀로, ‘승아/싱아’로도 불리며 ‘수영이·수영대·수영손이’라는 이름에도 쓰였다. ‘잣’이 든 이름에 ‘잣금이·잣녜·잣달이·잣덕이·잣동이·잣산이’도 있다. 이름에 보이는 ‘늣티’는 느티나무인 듯하다.

조선의 왕족은 ‘李’(오얏 이)씨이므로, 대한제국 땐 우표를 ‘풍개’ 꽃으로 꾸몄다. 더위 먹은 입맛 돌리는 데 시큼하고 달콤한 자두, 제격이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47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91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864
3215 ‘통일’의 반대말 風文 2023.01.16 1625
3214 ‘통장을 부르다’와 ‘시끄럽다’ 바람의종 2010.04.30 12136
3213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198
3212 ‘팜므파말’ 바람의종 2011.12.22 13323
3211 ‘평어’를 쓰기로 함, 심심하다 風文 2022.11.23 1724
3210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205
3209 ‘하므로’와 ‘함으로’ 바람의종 2009.12.04 9475
3208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람의종 2008.03.16 5461
3207 “김” 風文 2023.03.06 1562
3206 “돈이 남으십니다” 바람의종 2010.10.11 6502
3205 “사겨라” “바꼈어요” new 風文 2024.05.31 27
3204 “산따” “고기떡” “왈렌끼” new 風文 2024.05.31 15
3203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417
3202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077
3201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288
3200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259
3199 ○○노조 風文 2022.12.26 1235
3198 ㄹ는지 바람의종 2010.03.07 8910
3197 ㅂ불규칙 활용 바람의종 2010.04.23 11587
3196 美國 - 米國 / 3M 風文 2020.06.08 1562
3195 良衣·거리쇠 바람의종 2008.06.27 72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