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20 03:05

괴기라미 떡이라미

조회 수 6620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괴기라미 떡이라미

고장말

표준어 ‘-이랑/랑’과 대응하는 제주와 평안말이 ‘-이영/영’, ‘-이당/이땅’이라면, 함경말은 ‘-이라미/라미’고, 전라·충청말은 ‘-이여/여’다. “나라미 같이 가자.”(함경), “괴기라미 떡이라미 많이 먹습둥.”(함경) 함경말에서는 ‘-이라메/라메’도 쓴다. “큰집 성이라메 함께 갔습둥.” “나라메 같이 감세.” 같은 함경도에서도 함북 지역에서는 ‘-이라미/라미, -이라메/라메’와 함께 ‘-이궁/궁’이 쓰인다는 점이 함남 지역과 다르다. “이 집 아배궁 어매궁 어디 갓슴메?”

‘-이랑/랑’에 해당하는 전라·충청말은 ‘-이여/여’다. ‘-이랑’이 행동을 함께함(나랑 같이 가자), 견줌(형은 나랑 다른다), 사물을 잇기(빵이랑 과자랑 먹다) 구실을 하는데, ‘-이여/여’는 사물을 이어주는 기능만 한다는 점에서 표준어의 ‘-이랑/랑’과는 다르다. 함북말의 ‘-이궁/궁’도 그렇다. “광이여 방이여 어디 서렁이여 뭣이여 다 잡아 뒤어도 …”(<한국구비문학대계> 전남편) “형이 워디를 나갔다가서 들어 오믄 돈이여 쌀이여 뭐 연일 이렇게 많이 가져 온단 말여.”(위 책 충북편)

‘-이여/여’는 ‘-이야/야’로도 쓰인다. “대처나 인자 음식이야 술이야 푸짐하게 갖다 놓으면서 …”(위 책 전남편) “그 콩재기에다 떡이야 꽃갬이야 뱀(밤)이야 다 받아 여코(넣고) …”(위 책 전북편)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13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67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588
2930 당부 바람의종 2008.11.02 6687
2929 니카마! 바람의종 2008.11.03 6190
2928 올미동이 바람의종 2008.11.11 7690
2927 쇼바, 샥 바람의종 2008.11.12 7800
2926 원숭이 바람의종 2008.11.13 6957
2925 쇠고기 바람의종 2008.11.14 5483
2924 너랑 나랑 바람의종 2008.11.15 7658
2923 오마이 바람의종 2008.11.16 5762
2922 빵, 카스텔라 바람의종 2008.11.18 6207
2921 명분 바람의종 2008.11.19 4467
» 괴기라미 떡이라미 바람의종 2008.11.20 6620
2919 방마치 바람의종 2008.11.21 6683
2918 프로 바람의종 2008.11.22 5841
2917 바람의종 2008.11.22 6105
2916 국민 바람의종 2008.11.23 4541
2915 이랑마랑 바람의종 2008.11.24 5495
2914 풍개 바람의종 2008.11.24 10030
2913 잠바 바람의종 2008.11.25 7513
2912 여우 바람의종 2008.11.26 5511
2911 충분 바람의종 2008.11.26 6152
2910 죽이란대두 바람의종 2008.11.27 7615
2909 더펄이 바람의종 2008.11.29 77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