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1.15 14:57

너랑 나랑

조회 수 765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너랑 나랑

고장말

말을 잇거나 열거하는 데 쓰이는 표준어 ‘-이랑’은 어느 고장이나 거의 비슷한 형태로 사용되지만, 제주말과 평안말에서는 좀 달리 나타난다. 제주에서는 ‘-이영’이 쓰인다. “아침이영 정심밥이영 가져오게 뒈며는 …” “붉은 험벅이영 노랑 험벅이영 푸린 험벅이영 오섹 가지로 ….”(<한국구비문학대계> 북제주군 편) ‘-이랑’과 마찬가지로 자음 뒤엔 ‘-이영’이, 모음 뒤엔 ‘-영’이 쓰인다. “산에 간 남을 비여단 배를 짓언 씨어멍이영 메누리영 씨아방이영 이젠 배를 탄 나사난(나서니) ….”(위 책)

‘-이영’은 ‘-이랑’과는 달리 표준어의 ‘-도’와 같은 뜻으로도 쓰인다. “난 나비영 잡지 그렵수다.”(나는 나비도 잡고 싶습니다) “그 사름이영 카키옌 햄수과?”(그 사람도 가겠다고 합니까?) 이는 제주말의 ‘-광’이 ‘-도’의 뜻을 나타내는 것과 비슷하다. “그 예자 양지광(얼굴도) 참 곱다.” “그 사름 입은 것광 불쌍하여라.”

평안말에서는 ‘-이랑’은 ‘-이당/이땅’과 대응된다. “아덜이땅 딸이당 흑게(참) 잘살디 않습네?” 모음 뒤엔 ‘-당/땅’이 쓰인다. “왜디땅 복새땅 참 맛있갔습둥.”

표준어의 ‘-이랑’이 ‘-이다’의 활용형 ‘-이라’에 ‘ㅇ’이 덧붙은 형태라면, 제주말의 ‘-이영’은 ‘-이여’에 ‘ㅇ’이 덧붙었다. 평안말 ‘-이당/이땅’은 표준어의 ‘-이다’에 ‘ㅇ’이 덧붙은 것으로 보인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0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62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689
2930 당부 바람의종 2008.11.02 6687
2929 니카마! 바람의종 2008.11.03 6190
2928 올미동이 바람의종 2008.11.11 7690
2927 쇼바, 샥 바람의종 2008.11.12 7783
2926 원숭이 바람의종 2008.11.13 6957
2925 쇠고기 바람의종 2008.11.14 5482
» 너랑 나랑 바람의종 2008.11.15 7652
2923 오마이 바람의종 2008.11.16 5761
2922 빵, 카스텔라 바람의종 2008.11.18 6207
2921 명분 바람의종 2008.11.19 4467
2920 괴기라미 떡이라미 바람의종 2008.11.20 6615
2919 방마치 바람의종 2008.11.21 6683
2918 프로 바람의종 2008.11.22 5817
2917 바람의종 2008.11.22 6105
2916 국민 바람의종 2008.11.23 4535
2915 이랑마랑 바람의종 2008.11.24 5492
2914 풍개 바람의종 2008.11.24 9993
2913 잠바 바람의종 2008.11.25 7507
2912 여우 바람의종 2008.11.26 5508
2911 충분 바람의종 2008.11.26 6143
2910 죽이란대두 바람의종 2008.11.27 7612
2909 더펄이 바람의종 2008.11.29 77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