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22 18:34

토끼

조회 수 8010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토끼

짐승이름

“흰 이슬 비꼈는데 밝은 달 돋아온다/ 봉황루 묘연하니 청광은 뉘를 줄꼬/ 옥토(玉兎)의 찧는 약을 호객(豪客)에게 먹이고자.”

고산 윤선도의 시조에 나오는 토끼. 옥토끼는 달에 살면서 떡방아를 찧거나 불사약을 만든다고 믿고 있다. 이처럼 토끼는 장생불사의 상징 동물로 여겨졌다. 그 민첩함으로 심부름꾼으로 나서는 일이 더러 있다. 경북 문경에 토천(兎遷)이란 곳이 있는데, 고려 태조 왕건이 길을 잃고 헤맬 때 토끼가 나타나 절벽 길을 안내하였다고 한다. 문경에 ‘왕건’ 드라마 촬영장이 마련된 것도 우연은 아니겠다. “거부긔 터리와 톳기의 쁠와”(龜毛兎角, 두시언해)에서는 토끼를 ‘톳기’라 적었다. ‘톳’에 접미사 ‘-기’가 붙어 된 말로 볼 수 있다.

중국어에서는 토끼를 토자(兎子)라 한다. 여기 -자(子)는 작다는 뜻을 중심으로 하는 지소사로 보인다. -자(子)가 흔히 우리말로 토착하는 과정에서 ‘-지’로 바뀌어 쓰인다. 이르자면 가지(茄子), 종지(鍾子), 장지(障子)의 ‘-지’와 같다. 이 ‘-지’가 다시 소리 유창성을 꾀하려는 부정회귀를 통하여 ‘-기’로 바뀐 것으로 본다.

몽골말로는 ‘톨아이’(tulai)인데 말의 뿌리는 ‘톨-’이 된다. 받침소리에서 유연성을 보면 ‘톨-톧-톳’으로 유추할 수 있다. 한자어 어원으로 보는 견해보다는 알타이말 계통으로 보아 몽골말과 궤를 함께하는 우리말일 개연성이 더 높겠다.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46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89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829
3150 좌익 바람의종 2007.08.20 6623
3149 지양 바람의종 2007.08.20 9977
3148 지척 바람의종 2007.08.21 6791
3147 지하철 바람의종 2007.08.21 8027
3146 지향 바람의종 2007.08.22 6633
3145 질곡 바람의종 2007.08.22 8018
3144 질풍, 강풍, 폭풍, 태풍 바람의종 2007.08.23 8500
3143 차례 바람의종 2007.08.23 6646
3142 청사 바람의종 2007.08.24 5945
3141 청사진 바람의종 2007.08.24 7721
3140 청신호 바람의종 2007.08.30 7662
3139 초미 바람의종 2007.08.30 8644
3138 추파 바람의종 2007.08.31 11174
3137 퇴짜 바람의종 2007.08.31 10215
3136 배제하다?/최인호 바람의종 2007.08.31 8908
3135 우리말의 참된 가치 / 권재일 바람의종 2007.08.31 13199
3134 아사리판 / 한용운 바람의종 2007.08.31 11352
3133 속과 안은 다르다 / 김수업 바람의종 2007.08.31 8372
3132 파경 바람의종 2007.09.01 10958
3131 파국 바람의종 2007.09.01 8892
3130 파천황 바람의종 2007.09.04 9704
3129 파투 바람의종 2007.09.04 97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