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10.17 18:22

강쇠

조회 수 7891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강쇠

사람이름

‘가루지기타령’은 옹녀와 변강쇠의 활달한 성 행각을 다룬 판소리로, 영화와 만화의 밑감이 되기도 하였다. 몽골 사람이름에 ‘간토모르’가 있다. 말 그대로 강철, 바로 강쇠다. 몽골말 ‘간’과 우리말 ‘강’이 서로 만나고 있다. ‘강’이 든 이름에 강이·강가히·강고리·강돌이·강마·강만이·강비·강상이·강치가 있다. 강골(强骨↔약골)은 단단하고 굽히지 아니하는 기질을 이르며, 강돌은 강이나 냇가에 있는 호박돌이다. ‘강생이’(강상이)는 고장말로 강아지고, 강치는 몸집이 물개와 비슷한 바다 동물로, 지느러미 모양의 다리를 갖고 있다.

쇠를 만들 때 쇳돌(철광석)과 횟돌(석회석)을 용광로에 넣고 가열하면 쇳돌 찌끼와 횟돌이 엉긴 슬래그는 위로 뜨고 쇳물만 아래로 고인다. 이때 만들어진 것이 무쇠(주철)다. 무쇠는 단단하나 탄소가 많아 잘 부러진다. 달군 쇠를 두드려 단련하는 것을 불린다고 한다. 무쇠를 불린 것이 시우쇠(정철)다. 탄소량이 0.035∼1.7%가 되게 불린 것이 강쇠(강철)로, 질기고 녹도 덜 슨다. 탄소의 함량이 매우 적은 ‘무른쇠’(연철)는 ‘뜬쇠’라고도 한다. 사람이름에 ‘무쇠·믈쇠’가 있다. 수철(水鐵)로도 불리는 무쇠는 ‘믈쇠’에서 비롯된 듯하다.

첫가을에 부는 바람이 하필이면 강쇠바람일까? 용광로 같은 여름 끝, 열기에 그을린 강쇠 같은 사내들 사이로 부는 바람인 모양이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21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6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607
3106 갓달이 바람의종 2008.10.07 6999
3105 강남 바람의종 2009.02.12 6487
3104 강남 제비 바람의종 2007.04.29 10932
3103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448
3102 강냉이, 옥수수 바람의종 2011.10.27 9814
3101 강다짐 바람의종 2010.02.25 9789
»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891
3099 강술 바람의종 2010.06.08 9571
3098 강짜 바람의종 2008.12.07 8264
3097 강추위 바람의종 2009.12.18 7680
3096 바람의종 2008.09.19 7417
3095 개개다(개기다) 風磬 2006.09.13 15950
3094 개고기 수육 바람의종 2012.05.02 11659
3093 개구리밥 바람의종 2008.07.17 6024
3092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496
3091 개나발 바람의종 2008.02.21 10230
3090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175
3089 개떡같다 바람의종 2008.02.21 10764
3088 개망초 바람의종 2008.07.21 5201
3087 개미티 file 바람의종 2009.09.27 6190
3086 개발과 계발 바람의종 2010.11.03 12043
3085 개밥바라기 바람의종 2010.01.15 82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