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9 04:19

참 좋지다

조회 수 6316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참 좋지다

고장말

‘-이다’는 서남부 경남인 하동·남해·통영·거제 등과 전남 동부인 광양·여천·순천 등지에서 말끝에 붙여 쓰는 말이다. ‘-이다’는 표준어의 ‘-요’처럼 들을이를 높이는 말이다. “요 동니 당골들은 다 떠나갔어이다.”(<한국구비문학대계> 경남 거제도 편) “옛날에 우리 할부지가이다, 여 등너메 조그만 논도가리가 있었는데 ….”(위 책) “지끔 가몬 은제 오십니까이다?” 모음 뒤에서 ‘-이다’는 ‘-다’로 쓰이기도 한다. “닭장사하는 사람이 있어다.” “야, 그 질로는 없어, 없었어다.”(위 책)

‘-이다’의 또다른 형태는 ‘-이더’인데, 창원·함안·의령·김해 등지에서 쓰인다. “으제 갔어이더.” 모음 뒤에서는 ‘-더’로 쓰이기도 한다. “참말로 좋지더.” 이때 ‘-이더’는 표준어 ‘-ㅂ니다/습니다’와 대응하는 경상도말 ‘-이더’와는 다른 것이다. “괜찮으이더. 걱정 마이소!” “그 날짜를 내가 어긋치이 미안하이더.”(위 책 경주·월성군 편)

동사 어간에 붙여 쓰는 경상도말 ‘-이더’는 경기도말 ‘-이다’와 같다. “어머니, 나 장가가이다.”(위 책 경기 강화 편) “당신도 소용없이다.”(위 책)

경남·전남 일부에서 쓰이는 ‘-이다’는 ‘-요’와 대응하는 ‘-라우(전라도), -마씀/양(제주도), -유(충청도), -예(경상도)’ 등과 같이 어느 지역을 나타내는 전형적인 말은 아니다. ‘-이다’는 섬진강 주변에서 쓰이는 특징적인 말이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62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2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083
3040 천정부지 바람의종 2009.09.29 9174
3039 천만에 말씀 바람의종 2010.01.20 9752
3038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10.02.12 9352
3037 천둥벌거숭이 바람의종 2007.03.29 8860
3036 천덕꾸러기 바람의종 2007.05.23 8664
3035 처음처럼 바람의종 2010.11.01 11515
3034 처리뱅이 바람의종 2011.11.24 12353
3033 처녀치마 바람의종 2008.06.02 6882
3032 책보따리·책보퉁이 바람의종 2007.11.06 8721
3031 책갈피 바람의종 2010.10.06 9311
3030 참새 바람의종 2009.05.12 6844
3029 참말과 거짓말 바람의종 2008.01.07 9014
3028 참말 바람의종 2009.09.01 9485
3027 참다와 견디다 바람의종 2010.08.03 9078
3026 참나리 바람의종 2008.06.16 7716
3025 참꽃마리 바람의종 2008.05.29 5999
3024 참공약 바람의종 2012.11.21 17704
3023 참고와 참조 바람의종 2010.08.03 14021
3022 참고와 참조 風文 2023.07.09 1771
3021 참가, 참석, 참여 바람의종 2008.11.02 10547
» 참 좋지다 바람의종 2008.09.09 6316
3019 참 이뿌죠잉! 바람의종 2008.07.29 62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