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2 01:34

사이소예

조회 수 610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이소예

고장말

부산의 아침을 가르는 ‘아지매’들의 카랑카랑한 목소리를 이젠 들을 수 없게 됐지만, “재첩국 사이소예!”에서 나타나는 ‘-예’는 ‘-라우’(전라), ‘-마씀, -양’(제주)과 더불어 표준어 ‘-요’에 대응하는 말이다. 제주에서도 ‘-예’가 쓰이기는 하지만, ‘-예’는 경상도 지역의 전형적인 말투로 인식돼 왔다. 주로 말끝에 쓰여 들을이를 높이는 말이다.

“울 오메 여기 왔지예?” “죽었어예? 울 아버지가 벌써 총살을 당했다 이 말이지예?”(<어둠의 혼>·김원일)

‘-예’는 “돈예? 점점 더 희한한 소리 다 듣겠네예.”(<아우와의 만남>·이문열)의 ‘돈예’에서처럼 명사나 대명사에 결합하여 표준어의 ‘이거요, 돈요’와 같이 쓰일 수 있다는 점에서 ‘-라우’와는 다르다.

‘-예’는 주로 아이들이나 여성들이 쓰는 말이다. 어렸을 때는 남녀 없이 쓰는 말이지만, 나이가 들면서 경상도 남정네들은 슬그머니 ‘-예’를 말끝에서 떼 버린다. 어렸을 때 “아제예, 어서 가이소예!”처럼 말하던 것에서 ‘-예’를 떼어 버리고 “아제, 어서 가이소”처럼 말하게 되는 것이다. 성인 남성들도 허물없는 사이에는 쓰기도 하지만 그 사용빈도가 성인 여성들보다는 현저하게 떨어진다. 더구나 남성들은 외지인 앞에서 ‘-예’를 쓰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예’와 함께 경상도 아가씨를 떠올리는 것도 ‘-예’가 주로 여성들의 말투에서 나타나기 때문일 것이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8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56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267
3436 ‘-land’ 가 붙는 지명 표기 바람의종 2010.06.01 12250
3435 ‘감투’와 ‘망탕’ 바람의종 2010.03.23 16258
3434 ‘뜨더국’과 ‘마치다’ 바람의종 2010.04.02 16324
3433 단어를 쪼개지 말자 바람의종 2012.05.02 11394
3432 "-읍니다""-습니다" 바람의종 2008.05.03 8904
3431 "~대" 와 "~데" 바람의종 2008.05.13 10441
3430 "~들"의 남용 바람의종 2009.02.22 8220
3429 "~주다"는 동사 뒤에만 온다 바람의종 2009.07.25 12722
3428 "~하에" 바람의종 2009.10.07 13532
3427 "가지다"를 버리자 바람의종 2008.07.31 10179
3426 "가지다"를 버리자 2 바람의종 2008.08.03 10280
3425 "드리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1 18830
3424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5 16810
3423 "빠르다"와 "이르다" 바람의종 2008.04.02 9451
3422 "뿐"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1.03 9494
3421 "있다, 없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13 12944
3420 "잘"과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27 24165
3419 "정한수" 떠놓고… 1 바람의종 2008.04.01 13665
3418 "차"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6 12447
3417 % 포인트 바람의종 2012.06.11 9568
3416 돟습니다레! 바람의종 2008.09.27 6867
3415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91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