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9 16:33

참 이뿌죠잉!

조회 수 6213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참 이뿌죠잉!

고장말탐험

‘-잉’은 주로 전라도 사람들이 말 끝에 붙여 쓰는 말로, 다른 지역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경상도 쪽에서도 비슷한 형태의 ‘이’가 쓰이지만, ‘잉’과는 그 쓰임이나 분포에서 차이가 있다. ‘-잉’은 받침 ‘ㅇ’이 탈락하면서 ‘이’가 콧소리로 실현되기도 한다. “가지 말어라이~.” 최명희 <혼불>이나, 채만식 <탁류>에서도 ‘잉’이 흔하다. “밀지 말어. 자빠지겄네잉.” “문 열어요, 잉? 나두 들어가게 ….”

“끼니 거르지 말고 꼭 챙겨 먹어라잉.” ‘차 조심허고잉.’ 여기서 ‘잉’에는 타관 땅 자녀를 걱정하는 어미 마음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친구 사이 혹은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위협적인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기도 한다. “시기는(시키는) 대로 히라(해라)잉.” “딴소리허믄 재미없을 줄 알아라잉.”

이처럼 ‘-잉’은 마음을 더 간곡하게 혹은 위협적으로 드러낼 뿐만 아니라, 공감해 주기를 바라거나, 공감할 것이라고 예상될 때도 쓴다. “아따, 그 자석 드럽게 싸가지 없는 놈이구만. 그러지잉.” “참, 이뿌죠잉.”

‘-응개, 긍개, 근디’ 등과 함께 ‘-잉’은 전라도말의 한 지표가 되는 말이다. 타관에서 ‘-잉’을 쓰는 사람을 만나면 왠지 반갑고 정겹게 느껴지는 것은 고장말이 주민 사이 유대나 동질감을 확보하는 수단이자 정체성을 나타내는 표지인 까닭이다.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2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77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660
3436 ‘-land’ 가 붙는 지명 표기 바람의종 2010.06.01 12087
3435 ‘감투’와 ‘망탕’ 바람의종 2010.03.23 16036
3434 ‘뜨더국’과 ‘마치다’ 바람의종 2010.04.02 16144
3433 단어를 쪼개지 말자 바람의종 2012.05.02 11227
3432 "-읍니다""-습니다" 바람의종 2008.05.03 8729
3431 "~대" 와 "~데" 바람의종 2008.05.13 10246
3430 "~들"의 남용 바람의종 2009.02.22 8026
3429 "~주다"는 동사 뒤에만 온다 바람의종 2009.07.25 12548
3428 "~하에" 바람의종 2009.10.07 13362
3427 "가지다"를 버리자 바람의종 2008.07.31 10028
3426 "가지다"를 버리자 2 바람의종 2008.08.03 10138
3425 "드리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1 18632
3424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5 16639
3423 "빠르다"와 "이르다" 바람의종 2008.04.02 9309
3422 "뿐"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1.03 9330
3421 "있다, 없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13 12711
3420 "잘"과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27 23943
3419 "정한수" 떠놓고… 1 바람의종 2008.04.01 13485
3418 "차"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6 12290
3417 % 포인트 바람의종 2012.06.11 9448
3416 돟습니다레! 바람의종 2008.09.27 6708
3415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90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