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18 11:15

금낭화

조회 수 6254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금낭화

풀꽃이름
 




요즘 주머니는 아주 단순하여 그저 양복주머니, 청바지주머니 등 실용적인 쓸모만 남았는데, 실상 우리 고유의 주머니는 실용적인 것에 아름다움이 더해진 지극히 미적인 물건이다. 특히 한복에는 조끼 말고는 물건을 넣을 만한 호주머니가 없어, 옛날에는 남녀노소 누구나 지녔다. 예쁜 주머니는 중요한 꾸미개였다.


‘금낭화’(錦囊花)는 주머니 모양으로 생겼다고 붙은 이름이다. 색도 고와 비단주머니꽃이다. 금낭화로 더 많이 이르지만 우리말 ‘며느리주머니·며늘치’도 있다. 새로 시집온 며느리가 차는 예쁜 주머니에서 땄을 법한 이름인데, 며느리밥풀, 며느리밑씻개 등 며느리가 붙은 다른 풀꽃이름은 그야말로 며느리 수난사지만 좋은 뜻이 들어간 며느리주머니는 왜 금낭화에 밀렸는지 안타깝다.

영어로는 ‘블리딩 하트’(bleeding heart)인데, 꽃잎 아래로 희고 붉은 꽃잎이 늘어져 나오는 모습을 ‘피 흘리는 심장’이라고 매우 직설적으로 나타냈다.

달력에서 많이 본 금낭화를 이제 실제로 볼 수 있는 철이 되었다. 산과 들이 아니더라도 꽃시장에서 인기가 높다. 복주머니를 차 본 마지막 세대가 금낭화를 사면서 추억을 사는 건지도 모르겠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한겨레> 자료사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7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3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302
3018 둔지말 당두둑 바람의종 2008.07.10 7322
3017 걱정과 유감 바람의종 2008.07.10 6322
3016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7966
3015 어린노미·넙덕이 바람의종 2008.07.12 6531
3014 분홍바늘꽃 바람의종 2008.07.12 6307
3013 도미진 이야기 바람의종 2008.07.16 7090
3012 고개인사 바람의종 2008.07.16 7611
3011 조이·조시 바람의종 2008.07.17 6500
3010 개구리밥 바람의종 2008.07.17 6057
3009 시거리와 시내 바람의종 2008.07.17 6247
3008 녹는줄 바람의종 2008.07.18 6172
3007 늦잔이·잠이 바람의종 2008.07.18 5041
» 금낭화 바람의종 2008.07.18 6254
3005 잔돌배기 바람의종 2008.07.19 6847
3004 궂긴인사 바람의종 2008.07.19 7433
3003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482
3002 개망초 바람의종 2008.07.21 5240
3001 모량리와 모량부리 바람의종 2008.07.24 6736
3000 사룀 바람의종 2008.07.24 7293
2999 닭알 바람의종 2008.07.26 7262
2998 딜위·그믐딘이 바람의종 2008.07.26 7051
2997 쥐오줌풀 바람의종 2008.07.28 84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