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5 01:02

강냉이

조회 수 9441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강냉이

북녘말

강냉이는 남북이 같이 쓰는 말로 북녘말로 보기 어렵다. 하지만 남북에서 미묘한 차이가 있다. 밭에서 나는 열매를 가리킬 때, 남녘에서는 옥수수를 주로 쓴다. 그래서 강냉이는 ‘옥수수 알을 튀겨서 부풀게 만든 것’으로 쓰는 경향이 있다. 강냉이가 본디 자리를 옥수수에 내주고 좀 다른 뜻으로 쓰이는 것이다. ‘옥수수튀김’, ‘강냉이튀김’(북녘말은 ‘강냉이튀기’)이라는 말도 있지만 통상적으로 ‘강냉이’로 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강냉이는 옥수수와 동의어로 보고 있다. 하지만 그 예문을 보면 ‘옥수수튀김’으로 해석해도 무리가 없다.

“바스락바스락 고소한 강냉이를 먹고 싶은 생각에 내 입 안에서는 어느새 군침이 흐르고 있었다.”(최일남·너무 큰 나무)

예문에서 화자가 먹고 싶은 고소한 ‘강냉이’는 ‘옥수수’가 아니라, ‘강냉이튀김’이라고 하겠다. 사전에서 해석에 중의성이 있는 예문을 든 것은 그만큼 ‘옥수수’와 동의어인 ‘강냉이’의 예를 찾기가 어렵다는 점을 보여주는 듯하다.

반면, 북녘에서는 옥수수보다 강냉이를 주로 쓴다. <조선말대사전>에 실린 말은 ‘옥수수떡, 옥수수털, 옥수수과자’가 전부인데, 모두 비문화어로 보고 있다. 강냉이가 붙은 말은 ‘강냉이가루, 강냉이국수, 강냉이과자, 강냉이기름, 강냉이떡, 강냉이수염, 강냉이엿, 강냉이죽, 강냉이지짐’ 등 많이 있다.

강냉이라는 말은 옥수수가 중국 양자강 남쪽의 강남에서 전래했기 때문에 ‘강남이’로 부르다가 변화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1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53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486
3128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472
3127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風文 2022.01.13 1334
3126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340
3125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296
3124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218
3123 오염된 소통 風文 2022.01.12 1323
3122 공화 정신 風文 2022.01.11 1450
3121 띄어쓰기 특례 風文 2022.01.11 1628
3120 올바른 명칭 風文 2022.01.09 1034
3119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379
3118 일고의 가치 風文 2022.01.07 1059
3117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349
3116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286
3115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140
3114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437
3113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251
3112 주어 없는 말 風文 2021.11.10 1128
3111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250
3110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355
3109 평등을 향하여 風文 2021.11.02 1533
3108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선한 기업이 성공한다 風文 2021.10.31 1045
3107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3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