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03 17:04

실레마을과 시루

조회 수 7682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실레마을과 시루

땅이름

김유정이 태어난 마을 이름은 실레마을이다. 한자어로는 ‘증리’(甑里)라 하니 이는 곧 떡을 찌는 ‘시루’를 뜻한다. 김유정은 “춘천읍에서 한 이십리 가량 산을 끼고 꼬불꼬불 돌아 들어가면 내닫는 조그만 마을”로 “앞뒤 좌우에 굵직굵직한 산들이 빽 둘러섰고 그 속에 묻힌 아득한 마을로 그 산에 묻힌 모양이 마치 옴팍한 떡시루 같다 하여 동명을 실레라 부른다”라고 묘사하였다.

땅이름 가운데는 땅의 모양에서 생겨난 것들이 많다. 실레마을이 시루를 닮은 데서 비롯된 것처럼 시루를 닮은 산을 ‘시루뫼’ 또는 ‘증봉’, ‘증산’이라고 부른다. ‘시루봉’은 분지를 이룬 마을에서는 비교적 자주 발견되며, 시루의 방언인 ‘시리’, ‘실리’, ‘실기’, ‘슬구’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시루의 겉모습이 둥긋한 데 비해 시루의 안쪽은 옴팍하게 파여 있으니, 김유정의 고향 마을처럼 산으로 둘러싸인 마을을 ‘실레’라 하는 것도 자연스럽다.

“집이라야 대개 쓰러질 듯한 헌 초가요, 그나마도 오십 호밖에 못 되는 빈약한 촌” 마을인 실레마을에서 “주위가 이렇게 시적이니만치 그들의 생활도 어디인가 시적이고 어수룩하고 꾸밈이 없다”는 김유정의 <봄봄> 마을.

땅이름은 사람이 붙인 것이지만, 사람들은 다시 그 이름을 닮아가며 살아간다. 생강나무를 동백꽃이라 하고, 지주와 빚쟁이들이 무서워 제 논의 벼를 수확하지 못한 채 몰래 베어 먹어야 하는 동생을 위해 밤새 도둑을 지키는 형을 ‘만무방’(염치없이 막돼먹은 사람)이라 부르는 순박함이 실레마을 사람들의 이야기였음을 김유정의 작품에서 읽어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68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1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047
3128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440
3127 표준말의 기강, 의미와 신뢰 風文 2022.06.30 1441
3126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風文 2022.08.03 1446
3125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447
3124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447
3123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449
3122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1451
3121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452
3120 금수저 흙수저 風文 2024.02.08 1452
3119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453
3118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454
3117 바람을 피다? 風文 2024.01.20 1455
3116 4·3과 제주어, 허버허버 風文 2022.09.15 1457
3115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風文 2022.09.23 1459
3114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466
3113 마라톤 / 자막교정기 風文 2020.05.28 1467
3112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469
3111 너무 風文 2023.04.24 1472
3110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475
3109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476
3108 방방곡곡 / 명량 風文 2020.06.04 1483
3107 인기척, 허하다 風文 2022.08.17 14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