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30 08:05

궂긴소식

조회 수 8805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궂긴소식

언어예절

시대 따라 장례 풍속이 많이 바뀌었다. 그러나 늘 죽음은 하늘이 꺼지고, 한 세상이 저무는 일과 같다. 황망하여 궂긴소식 곧 죽음을 알리는 일조차 상주 아닌 호상 이름으로 내는 게 보통이다. 전날엔 부고장 꽂이를 사랑청에 두고 집안에 들이지 않았으나, 요즘은 부고장 대신 휴대전화나 전자우편으로 한시에 알리는 시절이 됐다.

부고는 알림 중에서도 육하원칙 따라 뼈대만 간추리는 대표적인 알림글이다. 인사말이나 격식이 따로 없다. 세상 버린 이 이름을 앞세워 ‘타계’ 사유와 일시를 보이면서 이를 삼가 알린다고 쓴다. 그 뒤 유족 이름과 관계·직함을 붙이고 빈소와 발인 날짜·시각, 연락처와 호상 이름을 밝히는 정도다. 신문 부고란에는 이보다 더 간략히 간추리기도 하고, 아무개의 부친·모친상 …으로 시작하기도 한다.

초상은 경황 없이 치르기 마련이어서 인사할 여유가 없으므로, 나중에 틈을 여투어 친지들에게 인사 편지를 보내는 게 도리다. 문상을 놓친 이도 있을 터이다.

부고는 부음·휘음·애계·흉문 …처럼 일컬음도 갖가지다. 사람 따라 죽음을 타계·별세·작고·서거·운명·하세 …로 달리 말하기도 하고, 종교 따라 선종·입적·열반·승천·소천 …들로 쓰기도 한다.

그 무엇보다 ‘돌아가시다, 세상 버리다, 가시다 …’들이 어울린다. 흔히 쓰는 ‘사망하다, 죽다’는 야박한 느낌을 주므로 사건·사고를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언론에서도 쓰기에 걸맞지 않다. 예컨대 “20명이 사망하고(죽고) 30명이 부상했다”보다는 “스무 명이 숨지고 서른 명이 다쳤다”가 자연스럽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5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86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772
3128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540
3127 온나인? 올라인? 風文 2024.03.26 1540
3126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544
3125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544
3124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545
3123 너무 風文 2023.04.24 1550
3122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554
3121 표준말의 기강, 의미와 신뢰 風文 2022.06.30 1554
3120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555
3119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556
3118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559
3117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561
3116 기림비 2 / 오른쪽 風文 2020.06.02 1562
3115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563
3114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風文 2022.09.23 1566
3113 인기척, 허하다 風文 2022.08.17 1571
3112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571
3111 단골 風文 2023.05.22 1572
3110 맞춤법을 없애자, 맞춤법을 없애자 2 風文 2022.09.09 1573
3109 비는 오는 게 맞나, 현타 風文 2022.08.02 1574
3108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風文 2022.08.21 1579
3107 존맛 風文 2023.06.28 15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