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9 11:56

각시취

조회 수 7483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각시취

풀꽃이름


 



‘각시취’는 양지 바른 가을 들판에 자라는 국화과 풀꽃이다. 신부의 상징색이 붉은 계열이다 보니, 짙은 분홍·자주·보랏빛 예쁜 꽃을 보고 각시를 붙였나 보다. 흔히 ‘각시’는 ‘각시수련·각시붓꽃·각시원추리’ 등의 쓰임을 볼 때 작고 연약하고 예쁜 풀꽃에 붙이는데, 각시취는 키도 크고 튼튼해 보이는 점이 좀 다르다.

‘각시’는 아내의 다른 말로서 주로 갓 시집 온 새색시를 이른다. 이는 옛말 ‘가시’에서 ‘갓시>갇시>각시’로 바뀐 것이다. 흔히 우리말 퀴즈에도 자주 나오는 ‘가시버시’를 국어사전들에서 대부분 ‘신랑신부’의 낮춤말로 풀이했는데, ‘버시’는 ‘벗+이’로 ‘각시를 벗 삼아’ 정다운 부부 모습을 가리키는 어찌씨로 보는 견해도 있다.

‘취’는 나물을 뜻하는데, ‘채’(菜)에서 변형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어린 순은 봄에 나물로 해 먹는다. 잎에 털이 있어서 ‘참솜나물’이라고도 한다.

‘우렁각시’는 있어도 ‘우렁신랑’이 없는 현실은 새색시한테도 상당한 기대가 깃들어 있음을 본다. 힘든 티 내지 않으면서 살림도 잘 하고, 애도 잘 기르고, 돈도 잘 버는(효도도 잘 하는) 우렁각시는 예나 지금이나 남자들의 바람인 모양이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46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06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785
3128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812
3127 질척거리다, 마약 김밥 風文 2022.12.01 1813
3126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814
3125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817
3124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820
3123 노랗다와 달다, 없다 風文 2022.07.29 1822
3122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825
3121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825
3120 하룻강아지 / 밥약 風文 2020.05.29 1826
3119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827
3118 풀어쓰기, 오촌 아재 風文 2022.10.08 1829
3117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829
3116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830
3115 납작하다, 국가 사전을 다시? 주인장 2022.10.20 1832
3114 좋음과 나쁨, 제2외국어 교육 風文 2022.07.08 1834
3113 우리나라 風文 2023.06.21 1842
3112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風文 2022.07.14 1843
3111 참고와 참조 風文 2023.07.09 1844
3110 웨하스 / 염장 風文 2020.06.10 1846
3109 열쇳말, 다섯 살까지 風文 2022.11.22 1847
3108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847
3107 비는 오는 게 맞나, 현타 風文 2022.08.02 18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