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8 07:20

터물·더믈

조회 수 7785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터물·더믈

사람이름

세종 3년(1423년), 김가물·김사안·김내거(金加勿·金沙安·金乃巨) 등 남녀 다섯이 요동에서 도망쳐 왔다. 본디 강계 사람으로, 요동으로 달아나 동녕위(東寧衛) 군대에 들어갔다가 고향이 그리워 도망 온 사람들이었다. 임금은 이들이 비록 우리 사람이나 중국 군대에 이름을 올렸으므로, 구실아치와 함께 그들을 요동으로 보냈다. 이름 표기에서 加勿(가물)은 ‘더믈’을, 高時加勿(고시가물)은 ‘고시더믈’을 적는다.

<용비어천가>에 夾溫猛哥帖木兒(협온맹가첩목아)·賽因帖木兒(새인첩목아)·兀魯帖木兒(올로첩목아)·高時帖木兒(고시첩목아) 따위 사람이름이 ‘갸온멍거터물·사인터물·우로터믈·고시더믈’로 적혀 있다. 帖木兒(첩목아)를 적는 ‘터물·터믈·더믈’ 가운데 앞서 본 바와 같이 ‘더믈’은 우리나라 말로 바뀐 것이고 ‘터물’은 몽골말 소릿값, ‘터믈’은 그 중간 꼴이다.

‘터물’은 몽골 사람 이름에 자주 쓰이는 밑말로, 쇠를 뜻한다. 그 자취는 야인과 우리나라 사람이름에 남아 있다. ‘부허’(不花)는 ‘부개·보개’로, ‘오부카/오부허’는 ‘어부개’로, ‘노하이’는 ‘노개’, ‘코이시터물’은 ‘고시더믈’로도 자리잡았다. 그 밖에 ‘바얀, 바두/바두리/바토/바토이, 사안/사얀, 돌치, 보라/보로, 야수개’ 따위 이름이 쓰였다. ‘돌치’는 티베트말로 도르찌(다이아몬드), 보로는 볼로르(수정)다. 몽골 사람 이름에는 지금도 티베트말이 자주 쓰인다. 이렇듯 사람이름에는 이웃과의 역사 관계에서 함께 쓰는 이름들이 있다. 조선 후기로 오면서 이런 영향은 자취를 감춘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036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688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1929
330 벌개미취 바람의종 2008.05.05 6787
329 금덩이·은덩이 바람의종 2008.05.05 10406
328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210
327 떡값 바람의종 2008.05.03 6654
326 실레마을과 시루 바람의종 2008.05.03 7565
325 다정큼나무 바람의종 2008.05.01 8670
324 망이·망쇠 바람의종 2008.05.01 9320
323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7971
322 궂긴소식 바람의종 2008.04.30 8638
321 패수와 열수 바람의종 2008.04.29 10177
320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011
» 터물·더믈 바람의종 2008.04.28 7785
318 예비 바람의종 2008.04.28 7454
317 모시는 글 바람의종 2008.04.27 17030
316 공암진 바람의종 2008.04.27 7550
315 솔체꽃 바람의종 2008.04.26 7566
314 오마대·기림대·오고타이 바람의종 2008.04.26 7551
313 설둥하다 바람의종 2008.04.25 6894
312 위례성과 아리수 바람의종 2008.04.24 8639
311 나비나물 바람의종 2008.04.24 5747
310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526
309 낙지와 오징어 바람의종 2008.04.23 88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