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5 03:07

설둥하다

조회 수 7100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설둥하다

“오지두 말아요. 매번 와서는 공연히 마음만 설둥하게 맹글어 놓고 가시면서 ….” (장편소설 <지리산>)

‘맹글다’는 ‘만들다’다. ‘설둥하다’는 어떤 뜻일까? 문맥으로는 ‘설레다’ 정도로 이해되는데 ‘설레다’와 ‘설둥하다’는 어떻게 다를까?

‘설둥하다’는 “얼굴을 본 둥 만 둥 그냥 지나간다”에 쓰인 ‘둥’이 결합된 것으로 보인다. ‘둥’은 ‘어떠한 것 같다’의 뜻이다. ‘둥’이 결합된 말로는 ‘미끈둥하다·매끈둥하다·부둥하다’, 북녘말 ‘실둥하다’ 등이 있다. 실둥하다는 ‘조금 마음에 들지 아니한 듯하다’는 뜻으로 ‘싫다’와 관련이 있다.

‘설둥하다’의 나머지 뜻은 ‘설다’에서 온다. ‘설다’는 ‘밥이 설다’처럼 ‘제대로 익지 않다’, ‘잠이 설다’처럼 ‘(잠이) 넉넉하지 않거나 깊이 들지 않다’, ‘귀에 설다’처럼 ‘익숙하지 않다’ 등으로 쓰인다. 각 의미를 뭉뚱그리면, ‘제대로 되지 않고 모자라는 상황’이라 하겠다. <조선말대사전>에는 ‘글이 설다’처럼 ‘미숙하다’, ‘말이 설다’처럼 ‘이치에 맞지 않다’, ‘사람이 설다’처럼 ‘수양이 모자라다’ 등의 뜻이 더 있는데, 역시 ‘무언가 모자라는 상황’에 포함할 수 있겠다.

‘설둥하다’는 ‘설다’와 ‘둥’이 결합했으므로, ‘제대로 되지 않고 무언가 모자라는 듯하다’ 정도의 뜻으로 볼 수 있겠다. ‘마음을 설둥하게 만들다’는 마음을 전하기는 하는데 무언가 어설프고 부족하게 전달되어 모자란 듯하게 만드는 것이므로, 결국 마음을 설레게 만드는 것이라 하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89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48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469
3128 팔자 바람의종 2007.09.08 8990
3127 폐하 바람의종 2007.09.09 10004
3126 푼수 바람의종 2007.09.10 11649
3125 한량 바람의종 2007.09.12 8566
3124 한성 바람의종 2007.09.18 11226
3123 한약 한 제 바람의종 2007.09.19 11130
3122 합하 바람의종 2007.09.20 8432
3121 행각 바람의종 2007.09.21 8308
3120 바람의종 2007.09.22 9142
3119 ‘김치’와 ‘지’ 바람의종 2007.09.22 7012
3118 형극 바람의종 2007.09.23 12447
3117 기다 아니다 바람의종 2007.09.23 14741
3116 호구 바람의종 2007.09.26 11381
3115 언어의 가짓수 바람의종 2007.09.26 12894
3114 호구 바람의종 2007.09.28 8420
3113 상일꾼·큰머슴 바람의종 2007.09.28 12690
3112 호남 바람의종 2007.09.29 9068
3111 ‘기쁘다’와 ‘즐겁다’ 바람의종 2007.09.29 12485
3110 홍일점 바람의종 2007.10.05 10876
3109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117
3108 환갑 바람의종 2007.10.06 18449
3107 언어 분류 바람의종 2007.10.06 133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