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2 08:39

예식장

조회 수 6934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예식장

전날엔 신부집 안마당에 초례상을 차렸지만 요즘은 신랑·신부 집안 두루 예식장에 모인다. 혼례도 잔치도 뭉뚱그려 식장에서 끝내고 신혼여행을 간다. 시집 장가는 제쳐두고 ‘결혼’만 있다.

아들딸이 귀해진 요즘은 썩 달라졌지만, “딸 치우고 며느리 본다”고 할 만큼, 며느리 보는 쪽을 더 경사로 쳤다. ‘인적 자원’ 의식의 옛모습이다. 인사도 그냥 “경하합니다, 기쁘시겠습니다, 축하합니다 …”면 통한다.

딸 치우는 쪽은 좀 달랐다. “여자유행 가소롭다 부러워라 부러워라 남자일신 부러워라 젊고늙고 일평생이 부모슬하 뫼셔있네 우리도 남자되면 남과 같이 하올것을 ….”(내방가사 ‘사친가’에서)

예전 제도·풍습에서 응당 나올 법한 한탄이다. 요즘도 예식장에서 딸(신부) 어버이에게는 손님들이 함부로 축하하지 않고, 혼주들도 마음 사리는 이들이 있다. 겉으로는 ‘치운다’지만 마음은 ‘여읜다’에 가까운 탓이다. 이때 ‘여의다’는 임시이별이지만 전날엔 영이별에 못잖았다. 그래서 하는 인사말이 “섭섭하겠네, 서운하시겠소! …”였다. 사위가 잘났음을 칭찬하는 인사 정도는 그럴싸하다.

장례식장에 가면 먼저 고인의 명복을 빌며 두 번 절한다. 가족을 여읜 이의 슬픔은 헤아릴 수 없으므로 위로할 말을 찾기 어렵게 된다. 그래서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무어라 위로 말씀을 드려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얼마나 애통하시겠습니까” 정도로 간단히 말한다. 상주는 울음(곡)으로 답할 뿐이었지만, 이젠 곡은 사라지고 “이렇게 와주셔서 고맙습니다” 식으로 답례하기도 한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91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51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480
3150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516
3149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517
3148 오염된 소통 風文 2022.01.12 1520
3147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525
3146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526
3145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530
3144 방방곡곡 / 명량 風文 2020.06.04 1531
3143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536
3142 마라톤 / 자막교정기 風文 2020.05.28 1537
3141 노랗다와 달다, 없다 風文 2022.07.29 1539
3140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540
3139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546
3138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風文 2022.07.14 1547
3137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550
3136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風文 2022.08.03 1551
3135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553
3134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553
3133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557
3132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560
3131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560
3130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560
3129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5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