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1 02:11

논개

조회 수 8620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논개

임진년 왜란을 일으킨 왜적은 진주성을 여러 번 쳤으나 번번이 뜻을 이루지 못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1593년 진주성을 무너뜨려 사람과 짐승 씨 하나 남기지 말라 명했다. 대군과 맞서 여러 차례 싸움에서 지켜낸 진주성도 기어이 무너지고 말았다. 촉석루에서 축하 잔치를 벌인 왜적들, 돋은 바위 위 한 여인의 아리따움에 홀린 왜장 게야무라. ‘양귀비꽃보다 더 붉은 마음’의 ‘논개’(論介)는 열손 가락지 낀 손을 깍지 껴 그를 안고 ‘강낭콩보다 더 푸른’ 남강으로 뛰어들었다.

논개라는 이름은 남자이름으로도 쓰였는데, 밑말 ‘논’에 ‘개’가 더해진 이름이다. 이름접미사 ‘-개’는 ‘-가’(加), ‘-가이’(加伊)와 뒤섞여 쓰였다. 명가(明加)/명개(明介), 풍가(豊加)/풍개(豊介)/풍가이(豊加伊). 동국신속삼강행실에는 한자로는 是加(시가)·楊加(양가)·億壽(억슈)·仇守(구슈)·梅花(매화)·葵花(규화), 한글로는 낱낱 ‘시개·양개·억슈ㅣ·구슈ㅣ·매홰·규홰’로 적고 있다. 홀소리로 끝나는 말끝에 /ㅣ/가 덧대지는 규칙이 있었던 모양인데, 이름접미사 ‘-가’가 ‘-가이/개’로 바뀌는 것 또한 이런 규칙의 영향인 듯하다.

고온개·난개·노난개·어둔개·언개·이른개·쟈근개 따위의 이름은 ‘고운 게, 난 게, 노는 게, 어둔 게, 언 게, 이른 게, 작은 게’처럼 들린다. ‘-개’가 단순히 이름접미사로 쓰인 이름에 가디개·검쇠개·긋개·귿탕개·기ㅁ.개·논개·눈개·똥개·막개·망죵개·미ㄴ.ㄹ개 ·범개·보롬개·복개·블개·삼개·솝동개·수개·슌개·씨개·어영개·언개·엄개·움개·허롱개가 있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22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81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555
3150 단골 風文 2023.05.22 1763
3149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763
3148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風文 2022.08.03 1766
3147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766
3146 백열 / 풋닭곰 風文 2020.05.09 1767
3145 지긋이/지그시 風文 2023.09.02 1767
3144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770
3143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771
3142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778
3141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781
3140 1도 없다, 황교안의 거짓말? 風文 2022.07.17 1781
3139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782
3138 대화의 어려움, 칭찬하기 風文 2022.06.02 1785
3137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788
3136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風文 2022.09.23 1792
3135 되갚음 / 윤석열 風文 2020.05.19 1793
3134 전통과 우리말 / 영애와 각하 風文 2020.06.17 1793
3133 너무 風文 2023.04.24 1796
3132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798
3131 美國 - 米國 / 3M 風文 2020.06.08 1800
3130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802
3129 만인의 ‘씨’(2) / 하퀴벌레, 하퀴벌레…바퀴벌레만도 못한 혐오를 곱씹으며 風文 2022.11.18 18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