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5 10:37

한내와 가린내

조회 수 9614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내와 가린내

<열녀춘향수절가>에는 암행어사 이몽룡이 전라도 초읍인 여산에서 일행을 세 갈래로 나누어 떠나보내는 장면이 나온다. 한 갈래는 진산·금산·무주·용담·진안·장수·운봉·구례로 돌아드는 서리패들의 전라 좌도고, 또 한 갈래는 용안·함열·임피·옥구·김제·만경·고부·부안·흥덕·고창·장성 등을 거치는 중방 역졸패의 우도다. 그리고 한 패는 종사들로 익산·금구·태인·정읍·순창·옥과·광주·나주·창평 등지를 거치도록 하였다. 자신은 헌 파립과 망건을 의뭉하게 차리고 삼례를 거쳐 완산 팔경을 구경하며 남원으로 내려간다.

그런데 암행어사가 거쳐 간 땅이름 가운데 “한내 쥬엽졩이, 가린내 싱금졍, 숩졍이, 공북누”가 있다. 얼핏 보기에는 쥬엽졩이, 싱금졍, 숩졍이도 땅이름처럼 보이나 이들은 ‘공북누’와 함께 정자이거나 누각임이 틀림없다. 흥미로운 것은 여기 나오는 ‘한내’와 ‘가린내’다. ‘한내’는 ‘크다’의 뜻을 지닌 ‘한’에 ‘내’가 붙은 말로 ‘대천’에 해당한다. 지금의 대천은 충남 보령이므로 춘향가에 나오는 대천과는 관련이 없다. 달리 말해 ‘큰 내’를 뜻하는 ‘한내’도 보편적으로 널리 쓰인 땅이름이다.

‘가린내’는 ‘한내’와는 대립적인 뜻을 갖는 말이다. 이 말은 ‘가늘다’의 다른 형태인 ‘가ㄹ.다’(‘가루’의 어원)에 ‘내’가 붙은 말이다. 곧 ‘가는내’ 또는 ‘가ㄹ.ㄴ내’에 해당하는 셈이다. 이런 뜻의 ‘가린내’는 제주도 한림읍 금악리에도 있다. 비슷한 형태로 좁고 가는 골짜기를 뜻하는 ‘가는골’도 산골 마을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70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30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037
3282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555
3281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557
3280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558
3279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1558
3278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560
3277 깨알 글씨,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6.22 1560
3276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560
3275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562
3274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562
3273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563
3272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風文 2022.07.28 1563
3271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563
3270 김 여사 風文 2023.05.31 1563
3269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564
3268 온실과 야생, 학교, 의미의 반사 風文 2022.09.01 1566
3267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570
3266 까치발 風文 2023.11.20 1574
3265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風文 2022.07.19 1575
3264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578
3263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578
3262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582
3261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5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