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3 09:09

무너미·목넘이

조회 수 6762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너미·목넘이

황순원의 소설 <목넘이 마을의 개>는 한 마을에 흘러들어 온 신둥이(흰둥이)의 강인한 삶을 통하여 온갖 고난을 이겨내는 우리 겨레를 상징한 소설로 알려졌다. 소설 속의 ‘목 넘이 마을’은 사방 산으로 둘러싸여 어느 곳이든 ‘목’을 넘어야 갈 수 있는 마을이어서 붙은 이름이다. 이야기 배경이 평안도 어느 마을로 설정돼 있으나 구체적으로 어느 곳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황순원이 평안도 대동 출생이니 그곳 어디쯤에 있는 땅이름일 가능성이 높다.

‘목 넘이 마을’처럼 ‘넘다’라는 말이 들어간 땅이름도 비교적 흔히 찾을 수 있다. 중세어에서 ‘넘다’는 ‘남다’와 함께 쓰였다. 두 말이 모두 ‘넘는다, 지나치다. 남다’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말이었다. 예를 들어 “백년이 하마 반이 남으니”라는 말은 “백년이 벌써 반이나 지나가니”라는 뜻이며, <석보상절>에서는 한자어 ‘과’(過)를 ‘넘다’로 풀이한 바 있다. 이는 중세어에서 ‘넘다’와 ‘남다’가 넘나들며 쓰였음을 뜻한다. 이 말이 차츰 분화하여 ‘남다’와 ‘넘다’가 전혀 다른 뜻의 말이 되었다.

그런데 땅이름에서는 ‘남다’의 의미를 갖는 것은 찾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넘다’의 경우는 ‘너미’라는 형태로 자주 쓰인다. 예를 들어 ‘무너미’는 ‘둑이나 저수지에서 물이 넘어가는 곳’ 또는 ‘물 건너 마을’을 뜻한다. ‘목 넘이’의 ‘넘이’도 마찬가지다. ‘넘다’에 이름씨를 만드는 뒷가지 ‘이’가 붙어 땅이름으로 자연스럽게 쓰인 셈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22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68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621
3172 외국어 선택, 다언어 사회 風文 2022.05.16 1135
317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내일을 향해 모험하라 風文 2022.05.12 1145
3170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355
3169 영어의 힘 風文 2022.05.12 1187
3168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277
3167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469
3166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442
3165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182
3164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205
3163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317
3162 외국어 차용 風文 2022.05.06 1182
3161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349
3160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219
3159 발음의 변화, 망언과 대응 風文 2022.02.24 1194
3158 왜 벌써 절망합니까 - 8. 경영하지 않는 경영자들 관리자 2022.02.13 1074
3157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1311
3156 역사와 욕망 風文 2022.02.11 1213
3155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351
3154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자네 복싱 좋아하나? 風文 2022.02.10 1096
3153 받아쓰기 없기 風文 2022.02.10 2342
3152 권력의 용어 風文 2022.02.10 1104
3151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3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