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7 02:06

소태와 소도

조회 수 7895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소태와 소도

<삼국지> ‘위지 동이전’은 진(晉)의 진수가 우리 옛역사를 기록한 책이다. 마한과 관련된 기록에는 “나라마다 별도의 고을(읍)이 있어 이름하여 소도(蘇塗)라 했으며, 큰 나무를 세우고 큰 북을 매달아 신에게 제사 지냈다. 그 안으로 도망한 자는 모두 잡아가지 못하였다”는 기사가 있다. 민속학자들은 ‘솟대’의 어원이 이 ‘소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말한다.

양주동은 <국사 고어휘고>에서 ‘솟대’가 ‘소도’에서 왔다는 견해는 한문 해석을 잘못한 것뿐만 아니라 ‘솟대’의 ‘솟다’와 ‘소도’의 음을 유추한 결과라고 짚었다. ‘소도’는 마한 각 고을의 별읍 명칭일 뿐 ‘나무를 세우고 북을 매단 것’과는 무관하다. 그는 ‘소도’의 ‘소’를 ‘수컷’의 ‘수’, ‘도’를 ‘터’로 보아 ‘수터’ 곧 ‘남성신을 제사하는 곳’으로 풀이한다. 민속학자들의 풀이보다는 훨씬 과학적이다.

그런데 ‘소도’와 유사한 땅이름은 아직도 남아 있다. 충주 소태면은 ‘소탱이골’이었다. 솔탱이골·소태양면으로 불리기도 했는데, 소나무가 많이 자라는 지역이다. 소태면 구룡리에서 원주 귀래면으로 넘어가는 고개가 ‘소탱이고개’이며, 그 아랫마을은 솔밭말 또는 송전(松田)이라 한다. <삼국사기> ‘지리지’에도 ‘소태현’이 나타나는데, 지금의 태안 지역을 가리킨다. 태안의 상징이 소나무이듯, 소태현과 소나무는 깊은 관계가 있었을 것이다.

솔잎혹파리에다 재선충 피해가 전국을 휩쓰는 지금 벌레가 들지 못하도록 ‘소도’를 만들어 소나무를 보호해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89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39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296
3172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367
3171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370
3170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371
3169 지슬 風文 2020.04.29 1374
3168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375
3167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380
3166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風文 2022.01.13 1381
3165 만인의 ‘씨’(2) / 하퀴벌레, 하퀴벌레…바퀴벌레만도 못한 혐오를 곱씹으며 風文 2022.11.18 1382
3164 질문들, 정재환님께 답함 風文 2022.09.14 1383
3163 오염된 소통 風文 2022.01.12 1385
3162 지긋이/지그시 風文 2023.09.02 1386
3161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389
3160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389
3159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393
3158 혼성어 風文 2022.05.18 1394
3157 노랗다와 달다, 없다 風文 2022.07.29 1394
3156 지식생산, 동의함 風文 2022.07.10 1395
3155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396
3154 배레나룻 風文 2024.02.18 1396
3153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397
3152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398
3151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3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