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1 11:32

그닥

조회 수 7006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그닥

남녘에서 최근 널리 쓰이는 말로 ‘그닥’이 있다. 그닥은〈조선말대사전〉에서 ‘그다지의 말체’로 풀이되어 있다.

“하는수 없이 박홍덕은 바위틈에서 내려서서 그닥 높지 않은 목소리로 누구냐고 소리를 질렀다.”(장편소설 1932년)

〈조선말대사전〉에는 ‘말체’로 풀이된 올림말이 상당수 있다. 말체는 곧 ‘입으로 말하는 투’다. 다시 말해 글말투로 글을 쓸 때에는 ‘그다지’로 적고, 입말투로 글을 쓴다면 ‘그닥’으로 적는다는 말이다. 남녘 사전에는 ‘그닥’이 없는데, 그 이유는 ‘말체’ 낱말을 올리지 않고 ‘준말’인 낱말을 올리기 때문이다. 만약 ‘그닥’을 ‘준말’로 풀이하여 사전에 싣는다면, ‘글말투 문장에서 일반적으로 그닥을 쓰게 되었다’고 본 것이다.

‘그닥’은 어느 낱말의 준말일까? ‘그닥’은 북부와 중부 지역어에서 두루 확인되는 ‘그닥지’의 준말이다. 이제는 ‘그닥지’를 쓰지 않는데도 ‘그닥’이 남녘의 글에서 쓰이게 된 것은 인터넷 글쓰기의 영향이다. 그래서 ‘그닥’을 인터넷 유행어 정도로 보는 사람도 있다.

‘그닥지’와 ‘그다지’는 20세기 전후에 같이 쓰이다가 표준어 정책으로 ‘그다지’로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한글학회〈큰사전〉이래로 남북 사전에서는 ‘그닥지’를 비표준어로 보고 있다. 그런데 ‘그닥’을 설명하려면 ‘그닥지’가 다시 필요하게 되었다. ‘그다지’와의 세력 싸움에서 진 뒤로 지역어에만 남아 있던 ‘그닥지’가 ‘그닥’을 내세워 중앙 진출을 시도했다고 볼 수 있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03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66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588
3216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425
3215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427
3214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427
3213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430
3212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431
3211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433
3210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433
3209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434
3208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436
3207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437
3206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438
3205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438
3204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438
3203 지슬 風文 2020.04.29 1439
3202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439
3201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441
3200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442
3199 ○○노조 風文 2022.12.26 1442
3198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446
3197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450
3196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452
3195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4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