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0 12:36

사위질빵

조회 수 5745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위질빵

풀꽃이름 중에 ‘며느리밥풀’이나 ‘며느리밑씻개’처럼 며느리가 들어간 이름은 제법 알려진 편이지만, ‘사위질빵’처럼 사위가 들어간 이름은 그리 알려지지 않았다. ‘사위질빵’은 여름에 시골담장에서 탐스런 하얀 꽃이 피는 덩굴식물이다. 그런데 다른 덩굴들은 보통 굵고 질긴데, 이는 무척 약하고 툭툭 잘 끊어지는 덩굴이다. 한자말로는 ‘여위’(女萎), 북녘말로는 ‘질빵풀’이다.

‘사위질빵’은 사위가 가을걷이 등 처갓집 일을 도울 때 사위에게만 유난히 조금씩만 짐을 실어 지게질을 하게 한 장인 장모에게, 함께 일하던 사람들이 이 약한 덩굴로 질빵(지게끈)을 만들어도 끊어지지 않겠다고 투정 반 농담 반 놀렸다는 데서 나온 이름이다. 사위를 아끼는 정이 따뜻하게 느껴진다. 사위질빵보다 꽃이 조금 더 큰 ‘할미질빵’도 있는데, 할머니가 멜 정도로 약한 덩굴이지만 사위질빵에 견줘 조금 더 굵고 질긴 것을 보면 논리적으로는 사위를 더 끔찍이 생각하는 것이 된다.

농사일을 할 때 ‘봄볕에 며느리 내보내고, 가을볕에 딸 내보낸다’는 속담과 비교해 보면 전통 사회에서 며느리와 사위 대접이 너무 달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난 21일을 ‘부부의 날’로 정함으로써 ‘가정의 달’ 완결편을 만들었다고 하는데, ‘며느리의 날’ ‘사위의 날’도 상상을 해 본다. 남의 집 귀한 아들딸을 데리고 왔음을 다시금 깨닫는 일도 정말 필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위질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9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5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543
3216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424
3215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424
3214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425
3213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427
3212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430
3211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431
3210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431
3209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433
3208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434
3207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436
3206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437
3205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437
3204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438
3203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438
3202 지슬 風文 2020.04.29 1439
3201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439
3200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441
3199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441
3198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442
3197 ○○노조 風文 2022.12.26 1442
3196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444
3195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4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