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5 16:09

귀지하다

조회 수 9846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귀지하다

‘귀지하다’는 2006년 12월에 나온 <조선말대사전> 증보판에 새로 실린 말로 ‘너절하고 지지하다’라고 풀이되어 있다. ‘지지하다’는 ‘보잘것없거나 변변치 못하다’는 뜻이므로 곧 ‘너절하고 보잘것없거나 변변치 못하다’는 뜻으로 이해된다.

“그래도 집에 남은 가족들이 이 귀지한 살림이나마 누릴수 없게 된것만 저어해서…”(조선문학 1958년 12호, 판자집마을에서)

‘귀지하다’가 어디서 온 말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귀지’가 ‘귓구멍 속에 낀 때’이므로 혹시 귀지와 관련이 있다면 참 재미있는 표현이라는 생각이 든다. 귀지가 바로 지저분하면서도 변변치 못한 것이기 때문이다.

지저분하다는 뜻을 가진 말로는 ‘게적지근하다, 구지레하다, 게저분하다, 구저분하다, 게접스럽다, 구접스럽다, 귀접스럽다, 귀중중하다, 괴죄하다, 꾀죄하다, 꾀죄죄하다, 뀌지하다’ 등이 있다. 이들 단어의 공통점은 첫글자에 ‘ㄱ’이, 둘째 글자에 ‘ㅈ’이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지근하다, -레하다, -분하다, -스럽다’는 ‘어떠한 듯하다’의 뜻으로 보인다. ‘구접’은 유일하게 <표준국어대사전>에서 확인되는 명사로, ‘하는 짓이 너절하고 지저분함’을 뜻한다. 그렇다면 ‘구접’을 중심으로 ‘귀접, 게접, 게적, 구지, 구접, 귀중, 괴죄, 꾀죄, 뀌지, 귀지’ 등 다양한 형태로 변화했다고 볼 수 있겠다. 이렇게 조금씩 모음이 바뀌어 다양한 형태로 쓰였으면서도 지저분한 느낌은 그런대로 잘 전달된다는 점에서 참 놀랍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54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05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008
3260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635
3259 ‘돌미’와 ‘살미’ 바람의종 2008.02.01 8119
3258 ‘때식을 번지다’와 ‘재구를 치다’ 바람의종 2010.05.07 13323
3257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631
3256 ‘렷다’ 바람의종 2010.04.27 9567
3255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9.12.04 9923
3254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171
3253 ‘말밭’을 가꾸자 바람의종 2011.11.11 8856
3252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197
3251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風文 2024.03.27 1746
3250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272
3249 ‘몇 일’이 아니고 ‘며칠’인 이유 바람의종 2009.12.01 10787
3248 ‘모라’와 마을 바람의종 2008.02.10 7973
3247 ‘물멀기’와 ‘싸다’ 바람의종 2010.05.17 12931
3246 ‘바드민톤’과 ‘아수한 이별’ 바람의종 2010.04.23 11836
3245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408
3244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189
3243 ‘붇다’와 ‘붓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1.14 11837
3242 ‘빼또칼’과 ‘총대가정’ 바람의종 2010.06.08 12552
3241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風文 2022.08.21 1504
324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190
3239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57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