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3 03:14

물과 땅이름

조회 수 7979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과 땅이름

물은 어느 시대 어느 곳이나 생명과 다름이 없다. 땅을 기름지게 하고, 곡식을 자라게 하며, 늘 새로운 생명을 싹틔우는 바탕이 물이다. 흔히 종교 행사로 치르는 ‘세례’ 또한 인간의 죄를 씻어주는 것을 의미하지 않겠는가. 그렇기에 <균여전>의 ‘항순중생가’에도 ‘대비 물로 적시어 이울지(시들지) 아니하겠더라’라는 시구가 나온다.

땅이름에 물과 관련된 것은 매우 많다. ‘물’의 옛말은  였다. <삼국사기> 지리지에 ‘수성군’(매홀군), ‘매소홀현’(미추홀), ‘수곡성현’(매탄홀), ‘이천현’(이진매현)에 포함된 ‘매’(買)는 모두 ‘물’을 표기한 보기들이다. 그런데 이 낱말의 음은 산을 나타내는 ‘뫼’와 유사하며, 들을 나타내는   와 같다.

여기에서 우리는 ‘물’을 뜻하는  가, 산이나 들의 ‘뫼’와   처럼 ‘미’로 변화할 가능성을 점칠 수 있다. 그런데 이 낱말은 ‘미’로 변화하지 않고, ‘믈’을 거쳐 ‘물’로 변화한다. 왜 그럴까? 이에 대한 해답은 언어 변화의 기능 부담과 관련지어 풀이할 수 있다. 달리 말해, 하나의 낱말 형태가 지나치게 많은 의미를 담당할 경우, 서로 다른 꼴로 나타내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산’과 ‘들’, 그리고 ‘물’을 모두 ‘미’로 일컫지는 않는다는 뜻이다.

이와는 달리 ‘나리’에서 온 ‘내’는 오랫동안 땅이름에 남는다. 예를 들어 ‘모래내’, ‘연신내’, ‘오목내’처럼, 물줄기를 뜻하는 ‘내’는 오늘날에도 자주 들을 수 있는 땅이름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81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3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397
3282 깨알 글씨,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6.22 1135
3281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135
3280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139
3279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140
3278 북혐 프레임, 인사시키기 風文 2022.05.30 1141
3277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142
3276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143
3275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1144
3274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147
3273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148
3272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149
3271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150
3270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151
3269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151
3268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153
3267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156
3266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156
3265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156
3264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156
3263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157
3262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1157
3261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1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