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1 19:46

‘돌미’와 ‘살미’

조회 수 8191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돌미’와 ‘살미’

서울 금천구 독산동이나 김포시 양촌면의 석산은 모두 ‘돌미’라 불리던 지역이었다. ‘돌미’에 들어 있는 ‘미’는 ‘산’을 뜻하는 ‘뫼’가 변한 말이다. 이처럼 산을 나타내는 말이 ‘미’로 변화한 땅이름은 매우 많다. 달이 뜨는 산을 뜻하는 ‘월출산’이나 ‘월악산’은 ‘달나미’, 또는 ‘달미’로 불린다.


그런데 ‘미’가 붙은 땅이름이라고 하여 모두 산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충북 중원(충주)의 ‘살미’는 산과는 관련이 없다. 여기에 붙은 ‘미’는 ‘들판’을 뜻하는  ‘가 변화한 말이다.  ‘ 는 〈훈몽자회〉에도 나오는데, 한자 ‘야’(野)를 ‘ 야’로 풀이하였다. 또한 〈두시언해〉에도 ‘누른 흙  두듥엔 하늘 닭이 춤추놋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뫼’와   ‘는 소리가 비슷해서 모두 ‘미’로 바뀔 수 있다. 이처럼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말을 동음이의어라 부른다.

흥미로운 사실은 일상의 언어생활에서는 동음이의어가 생겨날 경우, 뜻을 변별하기 위해 어느 한 낱말은 다른 말로 대체되어 쓰이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예컨대 ‘계절’을 뜻하는 ‘녀름’이 머릿소리규칙에 따라 ‘여름’으로 변화하면, 본디 있던 ‘여름’은 ‘열매’로 바뀐다. 그런데 땅이름에 나타나는 동음이의어는 이처럼 자유로운 변화를 보이지 못한다. 충북 제천에서는 ‘살미’를 ‘미산’이라 부르는데, 이 땅이름은 ‘쌀이 산처럼 쌓였다’는 전설보다는 ‘미’의 동음이의어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07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6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20
3282 꼬까울새 / 해독, 치유 風文 2020.05.25 1311
3281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311
3280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風文 2022.11.30 1311
3279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312
3278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312
3277 정당의 이름 風文 2022.01.26 1313
3276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313
3275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313
3274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315
3273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316
3272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316
3271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321
3270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323
3269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324
3268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風文 2022.09.08 1324
3267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324
3266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325
3265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326
3264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327
3263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327
3262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327
3261 매뉴얼 / 동통 風文 2020.05.30 13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