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1 18:43

올림과 드림

조회 수 7458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올림과 드림

요즘은 전화와 문자메시지 같은 전자말에 밀려서 글말 편지가 나날이 자리를 빼앗기는 판세다. 하지만 알뜰한 사실이나 간절한 마음이나 깊은 사연을 주고받으려면 아직도 글말 편지를 쓰지 않을 수가 없다. 글말 편지라 했으나 종이에 쓰고 봉투에 넣어서 우체국 신세까지 져야 하는 진짜 글말 편지는 갈수록 밀려나고, 컴퓨터로 써서 누리그물(인터넷)에 올리면 곧장 받을 수 있는 전자말 편지가 나날이 자리를 넓히고 있다. 이들 진짜 글말 편지든 전자말 편지든 이제 편지를 쓰면 너나없이 ‘올림’과 ‘드림’을 자주 쓴다. 올림은 받는 사람이 높은 자리에 있다는 뜻으로 쓰는 말이고, 드림은 주는 것이 보잘것없어서 낮은 곳에 아무렇게나 슬쩍 들여놓는다는 뜻으로 쓰는 말이다. 받는 사람을 높이고 주는 이를 낮추는 뜻은 다를 바가 없지만 마음을 두는 곳이 서로 조금씩은 다른 셈이다.

글말 편지의 봉투 겉에 보내는 사람을 흔히 ‘아무개 올림’ 또는 ‘아무개 드림’이라 쓰고 봉투 속에 담긴 편지글 끝에도 마찬가지로 그렇게 쓴다. 봉투 겉에 쓰는 것은 봉투 속에 든 글을 하나의 물품으로 보고 그것을 올리거나 드리거나 한다는 뜻으로 쓰는 것이라 좋지만, 봉투 속에 든 글은 바로 말씀을 올리거나 드리는 것이므로 사정이 다르다. 말씀을 올리거나 드릴 적에 쓰는 우리말이라면 ‘사룀’과 ‘아룀’이 따로 있기 때문이다. 사뢰는 것은 속살과 속내를 풀어서 말씀드리는 것이고, 아뢰는 것은 모르시는 것을 알려 드리려고 말씀드리는 것이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75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25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180
3282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158
3281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160
3280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160
3279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164
3278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165
3277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165
3276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169
3275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170
3274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170
3273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171
3272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1174
3271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175
3270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175
3269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176
3268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179
3267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179
3266 말하는 입 風文 2023.01.03 1179
3265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181
3264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182
3263 국가 사전을 다시?(2,3) 주인장 2022.10.21 1184
3262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1184
3261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1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