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31 19:25

아시저녁·아시잠

조회 수 7643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아시저녁·아시잠

‘아시잠’은 ‘잠깐 드는 잠’이다. 이런 잠을 이르는 말로 ‘선잠·겉잠·어뜩잠’ 등이 있다.

“철민이 이제는 그만 하고 쉬라고 권했으나 어머니는 초저녁에 아시잠을 한숨 자고 났더니 잠이 오지 않는다고 하면서 그냥 일손을 놓지 않았다.”(변희근 <뜨거운 심장>)
“어뜩잠이 들어 꿈속을 헤매다가 깨여난 명옥은 눈을 번쩍 뜨고서 달빛이 환히 비쳐드는 방안을 어수선한 심정으로 두리두리 살폈다.”(장편소설 <태양의 아들>)

‘아시’는 남북 두루 쓰는 토박이말로 ‘처음’을 뜻한다. ‘애’로도 쓰는데, 둘 다 ‘처음’을 뜻하는 ‘아?’에서 왔다. ‘아시’는 ‘애초’와 ‘애벌’로 구분하여 풀이하기도 하나, 애벌은 ‘애+벌(횟수)’ 짜임으로 ‘첫 번’이란 뜻이고, 애초는 ‘애+초’(-初) 짜임으로 ‘맨 처음’을 뜻하므로, ‘처음’이란 풀이로 아우를 수 있겠다.

‘아시빨래·애빨래’는 ‘애벌빨래, 처음 하는 빨래’다. ‘아시갈이·애갈이’는 ‘논밭을 처음 가는 것’, ‘아시논·애논’은 ‘처음 김을 매는 논’이다. ‘아시당초·애당초’는 ‘당초’와 비슷한 말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애당초’를 ‘애초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로 풀이했는데, ‘당초를 강조하는 말’로 보는 것이 옳겠다. ‘애초’에 ‘당(當)’이 곁들인 게 아니라 ‘당초’(當初)에 ‘애’가 결합했기 때문이다.

북녘말 ‘아시저녁’은 초저녁이고, ‘애저녁’으로도 쓴다. 이 ‘아시’는 ‘초가을·초어스름·초이튿날’ 등의 ‘초’ 자리에 쓸 수도 있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79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37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253
3282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425
3281 좋은 목소리 / 좋은 발음 風文 2020.05.26 1426
3280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426
3279 주시경, 대칭적 소통 風文 2022.06.29 1428
3278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431
3277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436
3276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438
3275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439
3274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439
3273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441
3272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442
3271 김 여사 風文 2023.05.31 1442
3270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444
3269 내일러 風文 2024.01.03 1447
3268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449
3267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1450
3266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450
3265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451
3264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451
3263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1452
3262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452
3261 까치발 風文 2023.11.20 14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