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8 15:02

마니산과 머리

조회 수 8729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마니산과 머리

신라의 시조 혁거세는 ‘거서간’이었다. ‘거서간’의 ‘간’은 ‘건길지’의 ‘건’과 마찬가지로 임금을 뜻하는 토박이말이다. 신라 제2대 임금인 남해는 ‘차차웅’이었으며, 3대 임금인 유리부터는 ‘니사금’(임금)이라 불렸다. 이러한 왕의 칭호가 눌지에 이르러서는 ‘마립간’이라 불린다.

‘마립간’을 두고 “김대문이 말하기를 방언의 말뚝(궐)이요, 궐은 사람의 지위에 따라 설치하는데, 왕의 궐은 중심에 배열하고, 신하의 궐은 아래에 배열한다”라는 <삼국사기>의 기록이 남아 있다. 그렇지만 ‘마립간’이 ‘말뚝’과 관련된다는 김대문의 주장은 토박이말 ‘머리’와 한자의 ‘말뚝’을 연상한 표현일 뿐이다. 왜냐하면 ‘마립간’의 ‘마립’은 ‘머리’를 뜻하는 토박이말인 까닭이다.

강화도 ‘마니산’은 본래 ‘마리산’이었다. ‘마리’는 머리를 뜻하는 토박이말로, 모음조화가 철저하게 지켜졌던 시대의 표기다. 이 말은 ‘마루’, ‘머리’로 소리가 조금 바뀐다. 한자 ‘宗’을 ‘마루 종’이라 읽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마리’의 음이 땅이름에서 ‘마라’나 ‘마이’ 또는 ‘마니’로 변한 경우는 진안의 ‘마이산’, 제주의 ‘마라도’가 있다. 비록 ‘마이산’(馬耳山)이나 ‘마라도’(滅島)에 들어 있는 한자의 뜻에 따라 ‘말의 귀를 닮은 산’이나 ‘파도에 갈리는 섬’처럼 풀이하기도 하나 두루 주변보다 두드러진 산과 섬이라고 할 수 있으니 ‘머리’에 해당한다. 현지 사람들이나 땅이름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마니산 아닌 마리산으로 부르자는 움직임도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22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73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746
3282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1270
3281 '-시키다’ 風文 2023.12.22 1270
3280 정당의 이름 風文 2022.01.26 1271
3279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271
3278 꼬까울새 / 해독, 치유 風文 2020.05.25 1272
3277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273
3276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273
3275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275
3274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278
3273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278
3272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279
3271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279
3270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280
3269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281
3268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282
3267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風文 2022.07.11 1282
3266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282
3265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風文 2022.07.21 1285
3264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285
3263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風文 2022.09.08 1285
3262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286
3261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2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