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5 14:26

차례와 뜨레

조회 수 8248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차례와 뜨레

‘차례’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먼저와 나중을 가리는 잣대를 뜻한다. 우리는 시간을 냇물이 흘러가듯 쉬지 않고 흐른다고 느끼면서 온갖 일이 그런 흐름 안에서 일어난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시간 안에서 일어나는 갖가지 일들을 먼저와 나중을 가려서 차례를 따지고 매긴다. 차례는 본디 한자말이었으나 이제는 그런 줄을 아는 사람이 거의 없어지고 본디부터 우리말인 줄로만 알게 되었다. 한자가 제 본디 소리를 허물어서 우리말 소리에 안겨 들었기 때문이다. 한자가 제 본디 소리를 지키려 들었으면 지금 이것은 [차제]가 되어 있을 것이다. 이처럼 제 본디 소리를 버리고 우리말 소리에 안겨 들어와야 이른바 ‘들온말’(외래어)이다.

‘뜨레’는 차례와 좋은 짝이 될 만한 우리 토박이말이다. 그러나 뜨레는 글말로 적힌 데가 없는 듯하고, 그래서 국어사전에 오르지도 못한 낱말이다. 하지만 나는 어린 시절 우리 고향에서 뜨레라는 낱말을 자주 들으며 자랐다. “사람이면 모두 같은 사람인 줄 아느냐? 사람에게도 천층만층 뜨레가 있는 것이다.” 사람답지 못한 짓을 하는 사람이 있으면 돌려 세워놓고 손가락질을 하면서 하는 말이다. 저런 사람은 뜨레가 낮으니 본뜨지 말라는 뜻이다. “그렇게 마구잡이로 섞지 말고 뜨레를 가려서 담아라.” 감자나 고구마를 캐어 그릇에 담을 적에 듣는 말이다. 큰 것은 큰 것끼리, 작은 것은 작은 것끼리, 크고 작은 뜨레를 가려서 그릇에 담으라는 뜻이다. 뜨레는 값어치의 무게, 값어치의 높낮이를 가늠하는 잣대를 뜻한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28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92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816
3304 동무 생각, 마실 외교 風文 2022.06.14 1297
3303 내일러 風文 2024.01.03 1300
3302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1301
3301 까치발 風文 2023.11.20 1302
3300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303
3299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1303
3298 말의 이중성, 하나 마나 한 말 風文 2022.07.25 1304
3297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304
3296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1305
3295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305
3294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風文 2022.07.21 1307
3293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307
3292 주시경, 대칭적 소통 風文 2022.06.29 1308
3291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310
3290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310
3289 국가 사전을 다시?(2,3) 주인장 2022.10.21 1310
3288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311
3287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312
3286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1312
3285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312
3284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風文 2022.07.11 1313
3283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3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