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4 18:43

이마귀

조회 수 9297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이마귀

북녘말 ‘이마귀’는 [이마뀌]로 발음되므로 남녘 표기법으로는 ‘이맛귀’로 적는다. 이는 ‘머리카락을 경계로 하는 이마 위쪽의 양쪽 구석’을 말한다.

“모자는 좀 작을사하였지만 이마귀가 좀 벗어져올라간 시원해보이는 얼굴에 잘 어울리여 어딘가 친근미를 느끼게 하였다.” (장편소설 <1932년>)

이맛귀의 위치는 남성 탈모의 엠(M)꼴 탈모에서 머리가 빠진 부위다. 보기에서 묘사된 사람은 엠꼴 탈모 초기로 보인다. 이마 가운데 윗부분은 ‘이마전(북)/이맛전’이라고 한다. 이맛귀의 중간으로 이해하면 된다. 이마의 좌우측 바깥 언저리 부위는 특별한 명칭이 없다. 옆얼굴에서 볼의 윗부분을 말하는데, ‘옆이마’라고 할 수 있겠다. 옆이마에는 관자놀이가 있다.

이맛귀는 ‘이마’와 ‘귀’가 결합된 말이다. 귀는 구석, 모서리를 가리킨다. 귀가 결합된 낱말로는 ‘길귀·날귀·눈귀·마당귀’ 등이 있다. 길귀는 ‘갓길에 해당하는 말’이다. 날귀는 ‘대패나 끌과 같은 연장의 날 끝 양쪽 끝부분’이다. 눈귀는 ‘눈초리에 해당하는 북녘말’이다. 마당귀는 ‘마당 한쪽 귀퉁이’다.

이맛귀를 활용하면 로마자를 쓰지 않고도 남성 탈모 유형을 표현할 수 있다. ‘엠꼴 탈모’는 ‘이맛귀 탈모’, ‘오(O)형 탈모’는 ‘정수리 탈모’, ‘유(U)형 탈모’는 ‘윗머리 탈모’라면 된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4345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0978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5877
    read more
  4. 안시성과 아골관

    Date2008.01.19 By바람의종 Views6794
    Read More
  5. 말차례

    Date2008.01.20 By바람의종 Views488520
    Read More
  6. 부리다와 시키다

    Date2008.01.20 By바람의종 Views8447
    Read More
  7. 달맞이꽃

    Date2008.01.20 By바람의종 Views6428
    Read More
  8. 태백산과 아사달

    Date2008.01.21 By바람의종 Views7725
    Read More
  9. 인사말

    Date2008.01.22 By바람의종 Views8979
    Read More
  10. 소젖

    Date2008.01.22 By바람의종 Views6469
    Read More
  11. 너도밤나무

    Date2008.01.22 By바람의종 Views6819
    Read More
  12. 황새울과 큰새

    Date2008.01.24 By바람의종 Views11271
    Read More
  13. 사촌

    Date2008.01.24 By바람의종 Views10422
    Read More
  14. 이마귀

    Date2008.01.24 By바람의종 Views9297
    Read More
  15. 차례와 뜨레

    Date2008.01.25 By바람의종 Views8248
    Read More
  16. 개양귀비

    Date2008.01.25 By바람의종 Views7406
    Read More
  17. 듬실과 버드실

    Date2008.01.25 By바람의종 Views7689
    Read More
  18. 형제자매

    Date2008.01.26 By바람의종 Views11509
    Read More
  19. 자욱길

    Date2008.01.26 By바람의종 Views11711
    Read More
  20. 뽑다와 캐다

    Date2008.01.26 By바람의종 Views8337
    Read More
  21. 개차산과 죽산

    Date2008.01.27 By바람의종 Views8999
    Read More
  22. 달개비

    Date2008.01.27 By바람의종 Views9320
    Read More
  23. 삼촌

    Date2008.01.27 By바람의종 Views8162
    Read More
  24. 깍지다리

    Date2008.01.28 By바람의종 Views7215
    Read More
  25. 말꽃과 삶꽃

    Date2008.01.28 By바람의종 Views7016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