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1 11:04

태백산과 아사달

조회 수 7778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태백산과 아사달

신화는 그 겨레의 뿌리이자 정신세계를 반영한다.

<삼국유사>에 기록된 ‘단군신화’는 우리 겨레의 뿌리이자 정신세계가 담긴 것라고 할 수 있다. 하느님의 아들인 환웅이 아사달 신단수에 내려와 웅녀와 혼인하여 아들을 낳았고, 그 아들의 이름을 단군이라 불렀다는 게 단군신화의 내용이다. 이에 <신증동국여지승람>은 하늘에서 신인이 태백산 박달나무 아래로 내려와 나라를 세웠는데, 백성들이 그를 단군이라 부른 것으로 기록한 바 있다.

다소 차이는 있지만, 우리는 두 문헌에 나온 기록을 통해 단군신화에 나타나는 ‘아사달’과 ‘태백산’이 같은 곳을 뜻함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아사달’에서 ‘달’은 <삼국사기> 지리지 고구려계 땅이름에서 흔히 발견되는데, 한자어 ‘산’(山)과 같은 뜻을 지닌 말이며, ‘아사’는 ‘아침’의 어원에 해당하는 말로, 알타이어에 드는 퉁구스·터키·몽골어에서도 흔적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아침’과 ‘밝음’, ‘태양’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그렇기에 단군이 세운 나라를 ‘조선’(朝鮮)이라 부른 것도 자연스러운 일로 보인다. 아침을 밝히는 주체가 ‘해’라는 점을 고려하면, ‘태백산’은 ‘아사달’의 한자어인 셈이다. 더욱이 ‘태백산·소백산·백운산·백마산’에 나오는 ‘백’(白)은 모두 ‘태양’과 관련을 맺는데, 이는 ‘해’를 한자로 옮길 때 ‘백’(白)을 썼다는 얘기다. 우리나라 곳곳에는 ‘해’와 관련된 땅이름들이 많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48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1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996
3150 혼성어 風文 2022.05.18 1585
3149 만인의 ‘씨’(2) / 하퀴벌레, 하퀴벌레…바퀴벌레만도 못한 혐오를 곱씹으며 風文 2022.11.18 1585
3148 웰다잉 -> 품위사 風文 2023.09.02 1586
3147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587
3146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588
3145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588
3144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588
3143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589
3142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591
3141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595
3140 노랗다와 달다, 없다 風文 2022.07.29 1598
3139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601
3138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602
3137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604
3136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609
3135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618
3134 기림비 2 / 오른쪽 風文 2020.06.02 1619
3133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619
3132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621
3131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623
3130 위탁모, 땅거미 風文 2020.05.07 1625
3129 국가의 목소리 風文 2023.02.06 16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