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6 04:00

물혹

조회 수 5679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물혹

언어는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가장 기본적인 수단이다. 언어는 입말과 글말로 나뉘는데, 그 표현 방식이 다를 뿐 기본적으로 말을 하고 글을 쓰는 목적은 상대방과 의사소통을 하는 데에 있다. 따라서 말을 하거나 글을 쓸 때는 상대방이 이해할 수 있도록 최대한 배려해야 한다. 그런데 실제 언어 사용 실태를 살펴보면 상대방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 듯한 용어로 말하거나 글을 쓰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전문 영역에서 이러한 예가 많이 나타난다.

법원의 경우 일반인들이 서류 한 장 제대로 작성할 수 없을 만큼 어려운 용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병원의 경우 무슨 말인지 거의 알아듣지 못하는 용어를 써서 환자들을 당황하게 한다. 언어를 사용하는 목적이 의사소통에 있는데, 상대방이 알아듣지 못할 말을 하거나 글을 썼다면 헛수고를 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전문 분야의 경계가 많이 사라지면서 일반인들도 전문 용어를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전문 용어에는 한자어나 외래어가 많은데, 일반인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쉬운 우리말로 순화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속 살갗에 주머니처럼 나서 그 안에 단백질이나 지방이 들어 있는 종기’를 가리키는 낱말로 ‘낭종’이 있는데, 의사들은 ‘시스트’(cyst)라고도 한다. 큰사전에는 ‘낭종’만 올라 있고, ‘시스트’는 올라 있지 않다. 그런데 큰사전에는 없지만, 일반인들은 이를 순화한 말로 ‘물혹’이라는 말을 널리 쓰고 있다. 그렇다면 전문 용어를 순화한 것이면서 일반인들이 자주 쓰는 ‘물혹’과 같은 낱말은 큰사전의 올림말로 수록하여 전문가들도 널리 쓰도록 해야 한다. 같은 전문 영역의 전문가들끼리라면 모르되, 일반인과 하는 대화라면 전문 용어를 쉬운 용어로 바꾸어 상대방이 알아들을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39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9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975
3326 울과 담 바람의종 2008.01.12 7490
3325 고양이 바람의종 2008.01.12 7830
3324 서울 바람의종 2008.01.12 6381
3323 말높이기 바람의종 2008.01.13 6261
3322 맞부닥치다 바람의종 2008.01.13 7356
3321 가와 끝 바람의종 2008.01.13 6709
3320 열쇠 바람의종 2008.01.14 7861
3319 예천과 물맛 바람의종 2008.01.14 8591
3318 과거시제 바람의종 2008.01.14 8018
3317 쓸어올리다 바람의종 2008.01.15 8664
3316 그치다와 마치다 바람의종 2008.01.15 7293
3315 쇠뜨기 바람의종 2008.01.15 7115
3314 여우골과 어린이말 바람의종 2008.01.16 6605
3313 미래시제 바람의종 2008.01.16 7524
» 물혹 바람의종 2008.01.16 5679
3311 굴레와 멍에 바람의종 2008.01.17 7526
3310 나무노래 바람의종 2008.01.17 7598
3309 압록강과 마자수 바람의종 2008.01.18 6829
3308 성별 문법 바람의종 2008.01.18 6821
3307 윽박 바람의종 2008.01.18 10162
3306 말과 글 바람의종 2008.01.19 4075
3305 며느리밥풀 바람의종 2008.01.19 58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